
이날 간담회는 주민의 자율적 사업 참여를 유도해 도시재생 사업의 효과를 높일 방안을 찾고, 실질적인 도시재생사업 지원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동구 도시재생사업의 현황을 공유하고 최근 사업운영 주체 일원화를 둘러싸고 불거진 주민 이견 해소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 관계자는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은 도시재생사업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시설을 유지·관리하며, 주민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민중심의 국토교통부 설립 인가 조직”이라며 “지역 기반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 협동 토대 구축 등 도시재생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최근 도시재생지원센터 일원화 과정에서 정작 주민들의 목소리는 소외되었다”고 말했다.
울산 리빙랩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은 그 과정을 통해 주민 참여도를 높이고 민간의 자율성을 확대하려는 목적도 있는 만큼, 사업이 본래 목적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자체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대길 부의장은 “도시재생사업은 지역과 주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추진돼야 한다”며 “현장에서 활동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사업에 더 잘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달라”고 말했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