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자동차산업 특별연장근로 허용으로 위기극복해야
상태바
[사설]자동차산업 특별연장근로 허용으로 위기극복해야
  • 정명숙 기자
  • 승인 2020.03.18 2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가 세계 자동차 업계를 한계상황으로 내몰고 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자동차 소비심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자동차기업인 현대차의 주가는 10여년전 금융위기 수준으로 돌아갔다. 작년 GV80에 이어 올해 아반떼와 G80 등 경쟁력 있는 신차가 잇달아 나오며 ‘골든 사이클’에 접어든다는 기대를 모았던 현대차가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차가 이 위기를 공격적 경영으로 극복하기로 하면서 생산량 확대를 위한 특별연장근로가 절실해지고 있다. 외국자동차회사들이 공장을 폐쇄하는 것과 달리 오히려 코로나19로 인해 감소한 생산량을 정상화하고 어려움을 겪는 부품사를 회생시키겠다는 것이 현대차의 전략이다. 세계자동차산업의 경우 중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푸조·시트로앵(PSA), 피아트·크라이슬러(FCA), 르노 등 글로벌 자동차메이커 3사가 이미 35개 공장 가동을 중지했다.

현대차는 지난 2월초 중국으로부터 들여오는 와이어링 하네스 등의 부품공급 중단으로 시작된 생산차질이 지금까지 이어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울산·아산·전주 공장에서 8만대 가량의 생산차질이 발생해 2월 생산대수가 53%나 줄었고 수많은 부품협력사들까지 납품 물량이 급감했다. 그 때문에 근로시간 연장을 통한 생산량 만회는 울산시와 지역내 자동차협력업체들의 간절한 요구이기도 하다.

현대차의 이같은 전략에 발목을 잡는 것은 정부의 ‘주 52시간 근무제’다. 현대차는 평일 40시간, 토요일 특근 8시간으로 ‘주 48시간’ 근무하고 있다. 한시적 ‘주 60시간’ 특별연장근로에 대해 노조와 협의를 진행 중에 있는 현대차는 노조와 협의가 끝나는대로 고용노동부에 특별연장근로를 신청할 방침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자동차산업부품업체모임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도 고용노동부에 완성차업체와 부품협력사들에 대한 한시적 특별연장근로 허용을 촉구하고 나섰다. 울산시도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장으로 구성된 시도지사협의회 명의로 대정부건의문을 추진하기로 했다.

재해와 재난에 한정했던 특별연장근로 허용 사유도 △인명 보호 및 안전 확보 △시설·설비의 갑작스러운 고장 △통상적이지 않은 업무량 증가 △국가경쟁력 등을 위한 연구개발(R&D)까지 다섯 가지로 확대됐고 이는 300인 이상 대기업에도 적용되므로 제도적 문제는 없다. 코로나19는 세계 경제에 대재앙이나 다름없다. 국가 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자동차산업의 회생을 위해 공격적 경영에 나선 현대차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