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교육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공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해 실시한 초·중학생 기초학력 평가에 대다수 학교가 보이콧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울산의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응시율은 6.73%로 17개 시도 중 꼴찌를 기록했다. 지역 초·중 학생 100명 중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참여한 학생은 7명도 채 안 됐다.
이는 당초 학업성취도 평가 응시가 부진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로 확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 불모지’ 울산의 교육을 걱정하는 학부모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교육청의 학력신장 대책에도 불구하고, 매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전국 평균 이하의 성적표를 받아 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보이콧 사태는 우려를 더욱 키우고 있다.
교육부의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초3·중1 참여 현황’ 자료를 보면 울산 지역 초중학교의 참여율은 6.73%에 불과했다. 초등학생 참여율은 11.25%, 중학생 참여율은 2.2%에 불과했다. 이번 평가는 과거 ‘일제고사’로 불렸던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별개의 제도로 컴퓨터를 활용한 학력 수준 진단평가다.
울산교육청은 앞서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와 관련해 학교 서열화로 인한 학력 격차 심화, 문제 풀이식 수업 집중 현상 등 부작용이 크다는 입장을 견지한 바 있다. 이런 입장이 일선 학교의 학업성취도 평가 ‘보이콧’ 사태를 불러온 것이라 볼 수 있다.
‘보이콧’의 사전적 의미는 ‘정치 경제 사회 노동 분야에서 부당한 행위에 맞서 집단이 조직적으로 벌이는 각종 거부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울산교육계가 ‘학업성취도 평가’를 조직적으로 거부운동을 할 만큼 부당한 제도인가?
부산을 비롯해 제주, 대구, 경북, 충북, 경기, 대전, 광주, 전북 등은 대다수 학생이 평가에 동참했다. 심지어 진보 성향의 충남과 세종도 참여율이 평균(72.9%)을 넘었다. 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과 공교육의 정상화라는 평가 제도의 순기능에 공감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울산교총은 “교사 업무량 증가, 학생 스트레스 심화 등을 이유로 반대하는 단체의 입장에 시교육청이 동조하면서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율이 저조하다”고 주장했다.
울산교육이 교육감 성향 문제로 공교육 궤도에서 이탈하거나 도태되어서는 안될 일이다. 그 결과와 책임은 모두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 산업도시의 교육백년지대계가 어두워지고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