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의 남동단 끝 울산에서 서쪽 전북의 중심 전주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구축 사업이 영호남 공동정책 과제로 추진된다. 울산~전주 간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현재 5시간 정도 걸리는 물류 시간을 1시간30분으로 대폭 단축될 수 있다. 동서간 화합과 교류의 매개체가 된 대구~광주 88고속도로 및 달빛고속철도에 이어 영호남을 1일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또 하나의 동서물류 교통망 탄생을 기대한다.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해 부산, 경남, 대구, 경북, 광주, 전북, 전남 등 영호남 8개 시도지사는 8일 전북 무주에서 제18회 영호남 시도지사협력회의를 열고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10대 분야공동 대응성명을 발표했다. 공동정책협력 과제는 울산시가 제안한 개발제한구역 전략사업 대체지 지정요건 완화, 지방재정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교부세율 인상, 저출생 대응을 위한 협력 및 재정지원 확대 등 지방권환 이양에 초점을 맞췄다.
지역균형발전 과제로는 영호남 광역철도망 구축(울산~전주 간 고속철도 연계, 영호남 내륙선 철도 건설 등 6건)과 영호남 광역도로망 구축(울산~양산 고속도로 건설, 전주~대구 고속도로 건설 등 2건)을 추진한다. 울산~전주간 고속철도(총 길이 244㎞, 사업비 8조원 추정) 연계사업과 울산~양산 고속도로 건설은 울산시가 제안한 과제다.
현재 영남의 울산과 호남의 전주를 잇는 광역교통망은 없다. 두 도시를 왕래하려면 경부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를 이용해야 하는데, 각각 대구와 창원을 둘러 가야해 이용자들의 불편이 크다. 이에 울산시와 전북도는 올해 2월 울산~전주 고속철도 구축 사업을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해 달라고 공동으로 건의해 놓고 있지만, 반영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영호남은 오랜 세월 상호 교류가 미미한 ‘가깝고도 먼’ 이웃이었다. 이런 가운데 울산~전주간 동서 고속철도가 구축된다면 지리적·정서적 거리감을 말끔히 해소해 동서화합을 촉진하는 것은 물론 소멸위기를 맞고 있는 양 지역이 재도약하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들 과제를 구체화하려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국가도로망 종합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급선무다. 특히 영호남 정치권이 앞장서 달빛고속철도처럼 특별법 제정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하려면 특별법제정 외에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영호남 주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