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도시 울산은 언제쯤 수자원 확보 ‘갈증’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정부의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및 울산권 맑은 물 공급 대책’ 발표 이후 울산의 수자원 확보 계획이 14년째 표류하고 있다.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사연댐 수문 설치 사업은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지만, 이에 따라 감소한 먹는물 추가 확보 대책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환경부가 조만간 ‘하천 유역 수자원 관리 계획’을 통해 신규 댐 후보지를 공개하기로 하면서 울산 시민들의 신규 수자원 확보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시민들의 오랜 ‘수자원 갈증’을 날려버릴 희망이 시나브로 움트고 있다.
환경부는 증가하는 물 수요와 기후 위기에 대응해 신규 댐을 만들 예정인데, 조만간 ‘하천 유역 수자원 관리 계획’을 통해 신규 댐 후보지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울산시(울주군)를 비롯해 17개 자치단체에서 21곳에 댐 신설을 신청해 놓고 있다. 기후 변화로 안정적인 물 공급이 어려워지고, 산업단지의 개발 등으로 용수 수요가 증가하자 지자체들의 ‘댐 건설’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울산은 먹는 물과 공업용수까지 수자원 수급에 비상등이 켜진 지 오래다. 청도 운문댐의 용수를 공급(하루 5만t)받는 울산권 맑은물 공급대책은 벌써 10년이 넘도록 제자리걸음이다. 최근에는 대구시가 제안한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에 운문댐 용수의 울산 공급안이 편승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이 역시 정부의 ‘하천 유역 수자원 관리 계획’ 반영과 안동댐 수계 8개 지자체와의 ‘합의’라는 난관을 넘어야 한다.
울산의 물 부족난 사태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당장 온산국가산단 확장과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 울산미포공단 부곡·용연지구 등에 공급할 공업용수 부족 사태에 직면해 있다.
이는 감사원이 제1차 국가물관리계획(2030년 기준)을 토대로 물 수급 시뮬레이션에서 2042년 산업단지 용수 부족은 없을 것으로 예측과 다른 결과다. 감사원은 울산의 물 부족량을 2042년 농업용수를 포함해 연간 399만t 규모로 추산한 바 있다.
울산시는 최근 자체 수원 확보를 목표로 ‘맑은 물 확보 종합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 계획이 제대로 추진되려면 정부 계획에 반영되는 게 중요하다. 이대로는 울산의 미래는 어둡다. 정부가 답을 내놓을 차례다. 정부는 울산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