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지자체 공공청사 이용자들의 일회용 컵 사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운동연합이 최근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청사 내 일회용 컵 사용 실태(점심시간)를 모니터링한 결과다. 울산 중구청과 남구청의 경우 직원을 포함해 청사 이용자 10명 중 각 7명과 6명 꼴로 1회용품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1회용품 사용 억제를 위한 홍보 및 계도 활동은 물론 지도·점검 권한을 갖고 있는 울산 지역 지자체 공공기관이 오히려 1회용품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실망스러운 조사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지는 1회용품 소재는 환경 오염 문제로 국제적인 규제 움직임이 활발하다. 울산 지역 공공기관들의 1회용품 사용 줄이기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
전국 21개 환경운동연합의 모니터링 결과를 보면 울산 지자체 공공청사 이용자들의 일회용 컵 사용률은 43.8%로 전국 1위였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도 두 배 정도 더 높은 수치다. 중구청의 일회용 컵 사용률은 71.3%로 가장 낮은 당진시 보다 34배나 많았다. 이번 조사로 중구와 남구는 각각 1회용 컵 사용률 전국 1위와 2위 도시라는 불명예를 썼다. 울산시청사 이용자들의 1회용품 사용률은 17.7%로 조사됐다.
이런 결과는 환경부의 느슨한 일회용 규제 정책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일회용 컵 보증금제와 1회용품 사용 줄이기 확대 시행에 제동을 건 바 있다. 소비자들의 경제적 부담과 가맹점주들의 반발, 1회용 컵의 회수와 재활용을 위한 기술적 문제 등을 이유로 규제 완화를 선택했다.
그러나 이 조사 결과로 공공기관들이 1회용품 사용 줄이기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음이 여실히 드러났다. 환경부는 앞서 2021년 7월 모든 공공기관에게 1회용품 사용 줄이기를 권고하는 ‘공공기관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 실천 지침’을 시행 중이다. 공공기관 청사 내에서 또는 회의ㆍ행사 장소에서 음식물을 먹는 행위를 자제하고,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를 위한 홍보 및 실천 운동을 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이다.
탄소중립 시대 1회용품 사용 규제는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시대적 요청이 됐다. 울산 공공기관들은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