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온산국가산단을 대폭 확장하기로 한 가운데 바로 그 옆에 또 하나의 대규모 신규 산단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름은 ‘울산 U-밸리 산단’이다. 대기업, 중소기업 할 것 없이 투자가 울산으로 집중되자 울산시가 전격적으로 신규 산단을 조성하기로 한 것이다. 민선 8기의 목표가 그 옛날 공업도시의 영광을 재현시키는 것인만큼 신규 산단 개발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야 할 울산의 운명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과거에 그랬듯이 무분별한 산단개발은 지역에 치명적인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이제는 환경도 살리고, 일자리도 확보하는 보다 지혜로운 개발을 선택해야 할 때가 됐다.
울산시가 추진하는 울산 U-밸리 산단은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데, 이 산단에 대한 용역은 지난 5월부터 이미 시작됐으며 내년 5월께 마무리된다. 신규 산업단지 조성에는 1조423억원가량이 투입될 예정이며, 화학, 수소, 이차전지, 그린모빌리티, 신소재 등의 다양한 업종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업종 전체를 분석해 보면 석유화학을 빼고는 대부분이 미래산업이다.
울산의 산단 수요는 일찍부터 예견됐던 것이다. 울산에는 현재 기업투자 문의가 물밀듯 밀려오고 있지만 산업부지의 적기공급이 어려워 투자사를 돌려 보내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다. 온산공단 확장, KTX역세권 복합개발, 장현첨단산단 개발, 하이테크밸리산단 개발 등 계속된 산단개발에도 공장용지는 태부족이다. 심지어 일부 기업은 인근 도시에서 공장부지를 확보하기도 한다.
이 가운데 U-밸리 산단은, 올 초 정부가 개발제한구역 해제 조건을 완화하기로 하면서 사업의 물꼬를 트기 시작했다. U-밸리 산단의 면적은 현재 360만1460㎡인데, 100%가 개발제한구역이며 이 중 개발이 사실상 어려운 1·2등급지가 70% 이상이다. 그렇지만 이 부지를 ‘지역전략사업’으로 개발할 경우 조건부로 해제가 가능하게 돼 있다. 울산시로서는 천군만마를 얻은 셈이다.
그러나 U-밸리 산단은 주거지와 가깝다는 점이 큰 단점이다. 안 그래도 온산산단이 더 확장되는데 대해 우려를 금치 못하고 있는 주민들은 온산산단 확장부지에 연결돼 있는 U-밸리 산단이 조성될 경우 자칫 공해가 주거지로 넘어오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울산지역 경제를 위한 산단 개발도 중요하지만 환경은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고 사전에 예방차원의 대책을 미리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