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인천 전기차 폭발 화재 여파로 전기차의 지하 주차 자체를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등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울산지역 아파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전기차 충전 시설을 외부로 이동했으면 좋겠다” “전기차 지상주차로 제한하자” 등 입주민들의 댓글이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앙정부의 재난안전대응 매뉴얼이 없어 혼란은 계속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인 안전관리 강화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다.
지난 1일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에 주차된 전기차 1대가 폭발해 주변 차량 140여대가 전소되거나 손상을 입는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당시 화재로 지하주차장 내부 온도가 순식간에 치솟으면서 전기설비 및 수도배관이 녹아 아파트 수백가구의 전기·물 공급이 끊겼다. 지하추자장은 폐쇄적이고, 천장이 낮아 소방차 진입이 쉽지 않고, 연기 배출도 원활하지 않다. 더욱이 리튬이온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특성상 한 번 불이 나면 잘 꺼지지 않고, 더 큰 불을 내는 ‘열폭주’ 현상 때문에 화재 진압이 매우 어렵다.
울산 중구 한 아파트 커뮤니티에는 전기차 충전소 확대·설치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다. 또 다른 아파트에서는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충전시설을 설치하고도 이용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난 2022년 1월28일 시행된 친환경자동차법에 따르면 오는 2025년 1월까지 기준에 해당되는 아파트는 전기차 충전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여기에는 의무 설치 대상, 비율 기준만 명시됐고 전기차나 충전시설 화재 후 피해 보상 기준 등 대책은 없다. 이런 상황에서 울산지역 지하주차장 충전시설 주변에는 소화시설이 없거나 소화기만 비치돼 있는 등 주민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5일 소방청에 따르면 2018년 3건, 2019건 7건, 2020년 11건, 2021년 24건, 2022년 43건, 2023년 72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아파트 등 다중이용시설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1건으로, 갈수록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울산은 국내 최대의 전기차 생산공장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도 높은 곳이다. 그러나 최근처럼 전기차 화재가 자주 발생한다면 전기차 생산을 필두로 하는 울산지역 경제도 분명 타격이 있을 것이 확실하다. 인명피해 예방과 국가경제를 위해서라도 정부는 하루 빨리 전기차 화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는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지름길일 수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