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그동안 개별적인 개발행위로 난개발돼 온 도시 주변 공업지역에 대한 재정비에 나선다. 이들 공업지역은 기계, 금속 등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개별 개발행위가 진행되다 보니 도로와 상하수도, 전기 등의 관련 인프라가 부족하고, 교통 혼잡과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환경 악화에다 용도지정 당시에 만든 업종 제한 규정, 설비 노후화 등으로 도심 주택가처럼 공동화의 운명을 맞이하고 있다. 열악한 사업 환경에 근로자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생활·편의시설 부족, 교통과 안전 확보 등의 문제까지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여성과 청년층의 취업 기피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을 정도다.
울산의 도심 주변 노후 공업지역을 현대화하고, 기능을 개선하면 그만큼 공장용지를 확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노후 공업지역이 기업도시 울산 산업혁신의 진원지가 되도록 전략과 실행계획을 잘 짜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지역 내 산업공간이 밀집한 공업지역의 비효율적인 토지이용 문제를 해소하고, 노후시설정비 및 신산업 공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울산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을 수립해 이달 30일 공청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 대상지는 산업단지 등 다른 법령으로 개발된 공업지역을 제외한 459만3981㎡(9곳) 규모에 달한다.
시의 기본계획안을 보면 길천산단 인근, 조일리 일원, 은현지구, 야음지구 등 4곳은 ‘산업관리형’ 공업지역으로 분류됐다, 20년 이상 산업시설이 50% 미만으로 산업기반이 비교적 양호하지만, 전통산업이 밀집해 산업생태계 보호가 필요한 곳이다. 또 20년 이상 산업시설이 50% 이상에 달할 만큼 기반시설이 열악한 HTV산단 인근, 고연리 일원, 상남화창지구, LX하우시스 일원, 장생포항 일원 5곳은 ‘산업정비형’으로 분류됐다.
또 지역 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9개 공업지역을 삼남권역, 웅촌권역, 온산청량권역, 도심권역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업종·업태별 집적화를 통해 생산효율을 높이고, 연계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산업역량을 키우는 전략도 제시됐다.
이들 노후 공업지역은 도로 등 기반시설 관리체계가 미흡하고 기존 산업의 쇠퇴, 열악한 물리적 환경 등으로 전반적인 정비가 시급한 곳이다. 제대로 정비한다면 울산의 노후 공업지역이 신산업의 축으로 바뀔수 있다. 시는 충분한 검토와 예산 확보를 통해 계획의 실행력을 높여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