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연간 소득 순유출액 규모가 거의 2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22년 한해 동안 울산에서는 18조4000억원에 달하는 지역외순수취 본원소득이 외지로 순유출됐다. 지역총소득에서 지역총생산을 뺀 게 지역외순수취 본원소득인데, 천문학적인 규모의 소득이 수도권 등지의 본사나 시·도의 경계를 넘는 통근자의 피용자보수 등의 명목으로 빠져나갔다.
울산은 지역총생산 중 외지로 빠져나간 소득의 비중이 21%를 훌쩍 넘어섰다.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 성장력 둔화에 내수경기 침체가 더해지며 지역경제의 경제활력이 약화되고 있는 와중에도 지역 소득이 줄줄 빠져나가고 있는 셈이다.
기업유치, 신선장 산업 육성도 꼭 필요한 일이지만, 도시 안에서부터 줄줄 새는 바가지부터 막아야 한다. 지역 소득의 순유출을 막지 못한다면 울산의 미래도 없다. 울산시와 지자체는 지역의 미래 명운을 걸고 소득 순유출을 저지해 그 소득이 지역에서 환류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21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동남권 지역소득(잠정) 분배 추이’ 자료를 보면 2022년 동남권 지역내총생산의 6.2%에 해당하는 19조3000억원의 본원소득이 유출됐다. 소득 순유출의 주역은 바로 울산이었다. 울산에선 동남권 전체 규모와 맞먹는 18조4000억원이 순유출됐다. 소득이 꾸준히 순유입을 보이는 부산과 대조적이다.
울산의 지역 총생산 중 외지로 빠져나간 소득 비중은 2000년 -13.4%에서 12년 만에 -20%대로 훌쩍 뛰었다. 그런데도 소득 순유출 추세는 갈수록 더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울산의 경제 주체들이 소비나 저축에 사용할 수 있는 총처분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있다. 전국 대비 울산의 총 가처분 소득 비중은 2020년 3.2%에서 2022년에는 2.7%로 쪼그라들었다.
울산이 악화하는 경기 침체를 완화하고 다시 성장엔진을 가동하려면 비정상적인 총소득 분배 구조를 정상화하는데 사력을 다해야 한다.
울산이 매년 정부로부터 교부받는 국가예산은 4조원 언저리다. 울산에서 빠져나가는 소득 순유출액은 이보다 5배가 넘는 엄청난 규모다. 지역에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은 지역에서 환류돼야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악화 일로를 걷고 있는 울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득 순유출을 저지하고, 그 소득이 지역에 재투자·소비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