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감사관이 최근 공개한 ‘건설공사 설계변경 및 특정물품 사용에 대한 감사’ 결과에 따르면 시본청 및 산하기관 등이 공모 및 관급자재 구입시 지역 내 업체가 있음에도 특별한 사유없이 타지역 업체와 계약한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가 모든 노력을 기울여 지역생산 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하고 있으나 정작 울산시 및 산하기관, 구·군 등은 어깃장을 놓고 있는 것이다.
지역내 업체의 공사 참여나 건설자재 구입은 지역경제에 큰 역할을 하는 버팀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대부분 지자체에서는 조례나 각종 규정을 만들어 지역내 건설업체들의 공사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물품 또한 가급적 그 지역에서 조달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의 경우 지역내 건설업체의 공사참여율이나 자재 납품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저조한 상태다. 이는 울산지역에 대형 건설업체가 많지 않다는 이유도 있지만, 조금이나마 지역에서 생산되는 자재를 쓰려는 의지가 약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5일 울산시의 감사결과를 보면 울산종합건설본부는 12개 사업의 건축설계공모를 추진하면서 전기, 통신, 소방 등 특정분야에 대해 지역제한 입찰금액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업체 제한을 하지 않아 타지역업체가 실시설계 용역을 맡았다. 또 울산도시공사는 11개 관급자재를 2단계 경쟁방식으로 구매하면서 지역업체 여부를 우선 검토하지 않았으며, 평가 과정에서 최대 7.5점까지 지역업체 여부 배점을 줄 수 있지만, 지역 배점없이 평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울산시는 그 동안 울산시장의 주도로 지역 건설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지역 건설업체가 한건이라도 더 많이 공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례를 바꾸고, 전국 단위 대형 건설업체와의 간담회를 주선하기도 했다. 이달 초에는 재개발·재건축 사업 등 도시정비사업이 추진될 경우 지역 건설업체가 참여하면 최대 20%까지 용적률을 완화 받을 수 있는 ‘2030 울산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일부 개정안을 고시하기도 했다. 이 모든 노력은 오로지 지역 건설경기를 일으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런데 울산시본청과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도시공사, 북구청, 울주군청 등은 지역 내 물품 생산·판매하는 업체가 있음에도, 특별한 사유없이 타지역의 생산 업체와 계약을 체결했다. 한쪽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목숨을 걸고 있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지역 외 업체를 들여오는 어처구니 없는 일을 벌인 것이다. 지역 중소건설업체들의 한숨소리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답답할 뿐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