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속의 꽃(15) 배롱나무꽃]100일의 붉은 여름
상태바
[한시 속의 꽃(15) 배롱나무꽃]100일의 붉은 여름
  • 경상일보
  • 승인 2024.08.2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안순태 울산대 국어국문학부 교수·'알고 보면 반할 꽃시' 저자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 했다.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이다. 석류꽃이나 치자꽃, 능소화 같은 여름꽃은 열흘 이상 피어 있기도 한다. 그런데 열흘을 훌쩍 넘겨 100일 넘게 피는 꽃이 있다. 배롱나무에서 7월부터 9월까지 피는 배롱나무꽃이다.

배롱나무는 ‘백일홍나무’를 줄여 발음하면서 만들어진 말이다. 땅에 풀로 자라는 초본 백일홍도 있는데(원산지는 멕시코) 그것과 구분하기 위해 배롱나무를 목백일홍이라고도 한다. 또 배롱나무는 그 수피(樹皮)가 매끈하여 줄기를 만지면 가지와 잎이 간지럼을 타듯 흔들린다고 여겨졌다. 그래서 ‘간지럼을 무서워하는 나무’라는 뜻의 ‘파양수(怕癢樹)’라고도 했다.

허옇게 센 백발의 주인 늙은이
칠월에 이미 꽃이 핀 것 보았지.
나그네 생활로 한 달이 지났는데
집에 돌아와 보니 예전처럼 붉게 피어 있네.

皤皤白髮主人翁(파파백발주인옹)
曾見花開七月中(증견화개칠월중)
作客已經三十日(작객이경삼십일)
還家猶帶舊時紅(환가유대구시홍)

▲ 신윤복의 ‘소년이 붉은 꽃을  꺾다(少年剪紅)’  간송미술관 제공
▲ 신윤복의 ‘소년이 붉은 꽃을 꺾다(少年剪紅)’ 간송미술관 제공

신광한(1484~1555)이 어느 해 7월, 학질(말라리아)에 걸려 한 달간 집을 떠나 있게 되었다. 집을 나서기 전 배롱나무꽃이 붉게 핀 것을 보았는데, 한 달 후 집에 돌아와 보니 여전히 그 꽃이 붉게 피어 있어 읊은 시다.

배롱나무꽃은 한번 피면 100일이 넘게 피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꽃이 피었다 떨어지고 그 자리에 새 꽃이 피어 100일 동안 붉게 보이는 것이다. 소나무가 푸른 잎이 지고 난 자리에 곧 새잎이 돋아 늘 푸르게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조선 후기 학자 신경준(1712~1781)은 배롱나무꽃이 얼마나 오래 피어 있는가 관찰한 적이 있다. 그 결과 먼저 핀 꽃이 지려 할 때 그 뒤의 꽃이 이어서 피어나 100일 하고도 열흘 남짓 붉은빛을 유지하더라고 했다. 배롱나무꽃을 읊은 옛 시인들도 대부분 그 꽃이 100일 동안 붉게 보이는 이유를 알고 있었던 것이다.

안순태 울산대 국어국문학부 교수·'알고 보면 반할 꽃시' 저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