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역 여권 국회의원들이 당소속 시의원들에 의한 시의회 장기 파행을 두고 합리적 조율을 통해 조속한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기는커녕, 자신의 지역구 시의원들의 이해관계와 연계되면서 오히려 막후에서 파행을 조장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 여론이 거세다.
이에 따라 지역 국회의원들과 당소속 시의원들 간의 정치적·인간적 신뢰가 무너지면서 지역 여권의 리더십은 바닥으로 추락하고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5일 지역 여권에 따르면 김기현(울산 남을) 전 대표와 서범수(울산 울주군) 사무총장, 박성민(울산 중구) 의원, 김상욱(울산 남구갑) 시당위원장은 지난달 29일부터 이틀간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연찬회 기간 별도로 비공개 회동을 했다.
국회의원들은 이 자리에서 당소속 시의회 의원들에 의한 장기 파행 사태와 관련된 해법을 놓고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으나, 결론 도출 없이 논란만 증폭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복수의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시의회 정상화 방안과 관련, 국회의원들 사이에선 상반된 해법을 내놓으며 격한 감정까지 드러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A·B 국회의원은 시의회의 정상화를 위해 당소속 시의원 가운데 의장 직무대리(부의장)를 비롯해 상임위원장 등 11명의 ‘의회직’ 의원들의 일괄 사퇴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A·B 의원은 “현재의 부의장과 상임위원장 등 11명 전원에 대한 강도 높은 책임을 물어 사퇴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시당 지도부의 ‘행동 개시’를 압박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면 C·D 국회의원은 정면으로 반대입장을 밝히면서 중앙정치권의 직접 개입은 풀뿌리 자치 정신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는 데 방점을 찍었다.
C·D 의원은 “시의회의 장기 파행이 소강상태로 전환되면서 정상화를 시도하고 있다. 중앙정치권의 개입은 오히려 화를 불러올 수 있다”면서 “자율적으로 조속한 정상화에 기대를 걸어야 할 때”라고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여권 국회의원 간 상반된 의견으로 접점을 찾지 못한 채 5일 현재까지도 격한 감정만이 내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연장선에서 이번 정기국회에서 울산시를 중심으로 지역 여권의원 간 국비 확보 전략과 현안 대처에도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지역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날 “집권당 지역 국회의원들과 당소속 시의원 간 정치적 질서가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국회의원들이 시의원들과의 정치적·인간적 관계나 조직력 등 복잡한 이해관계를 초월, 조속히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