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영의 버섯이야기(48)]소캐(솜)버섯을 아시나요?
상태바
[최석영의 버섯이야기(48)]소캐(솜)버섯을 아시나요?
  • 경상일보
  • 승인 2024.09.0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최석영 울산대학교 명예교수

몇 년 전 가지산 석남사 상가의 원준이 할매한테 1990년대 초 이맘때 행정마을 사람들 10여 명이 소캐버섯인 줄 알고 야생버섯을 먹고는 집단 중독되어 언양 큰 병원에 입원하고 전국 방송에도 나오고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소캐’는 ‘솜’의 경상도 지역 말인데, 소캐버섯은 버섯도감에는 없고 국어사전에 솜 모양의 버섯이라고만 나와 있었다. 그러다가 김정한의 단편소설 <사하촌>에서 다음 글을 찾았다.

‘그중 제일 익숙한 것은 역시 가동댁이었다. 그는 어릴 적부터 까투리처럼 그 산을 싸다닌 만큼, 어디는 어떻고, 어디는 무슨 버섯이 난다는 것을 환히 알기 때문에 언제든지 남의 앞장을 서 다니면서 값나가는 송이라든가, 참나무 버섯 따위부터 쏙쏙 곧잘 뽑아 담았다. 다른 여자들은 부러운 듯이 그의 뒤를 따라다니며, 한 광주리 가득 채워 이고 이십 리나 넘어 걸어야 겨우 한 이십 전 받을 둥 말 둥한, 소케(/캐)버섯, 싸리버섯 등속을 딸 뿐이었다.’

필자는 소캐버섯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원준이 할매에게 버섯도감과 이맘때 나는 여러 가지 버섯을 보여주면서 알아본 결과 그것은 바로 ‘다발방패버섯’이었다.

▲ 영축산 골짜기에 핀 다발방패버섯.
▲ 영축산 골짜기에 핀 다발방패버섯.

이 버섯은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양지바른 솔밭 바닥에 나는 것으로 갓은 지름 5~15㎝이고 두께 1~3㎝로 크고 두툼한 육질이다. 또 하나의 줄기에서 여러 줄기가 자라나서 전체적으로 지름 30㎝, 높이 15㎝에 이르는 황백색의 큰 버섯이다. 손바닥만 한 버섯이 중첩하여 수십 m에 이르도록 나므로 지게 하나를 채울 만하고, 한 번 데쳐서 요리하면 약간 쓰기는 하지만 부드럽고 아삭아삭한 식감으로 인정받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 버섯이 소매를 휘날리며 춤추는 인형을 연상한다고 하여 닌교타케(인형용, 人形茸)라고 하며 또한 이것이 나타나면 그 산에서는 더 이상 송이버섯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여 송이 산주들은 역병처럼 여기면서도 이 버섯을 별미로 판매하고 있다. 소캐버섯은 가을철 땅에서 발생하는 송이, 능이, 까치버섯, 만가닥버섯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 식재료로써 활용할 바를 찾아볼 필요가 있는 버섯이다.

최석영 울산대학교 명예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
  • 양산 황산공원 해바라기 보러 오세요
  • 울산 부동산 시장 훈풍분다
  • 추억 속 ‘여름날의 할머니집’으로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