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울주군이 11일 ‘2024년 울주 맞춤형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의 핵심은 읍·면별 인구수의 편차가 매우 크고 연령대 또한 격차가 너무 벌어져 있다는 것이었다.
전국적으로 군 지역은 소멸위기에 처해 있는 곳이 한 두 곳이 아니다. 울주군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방치하다가는 언제 어느 마을이 소리소문도 없이 사라질 지 모르는 형국이 됐다. 하루 속히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군 전체가 소멸될 수도 있다.
울주군이 지난해까지 22년간 인구 추이를 분석한 결과 울주군 전체 인구의 85%가 읍지역에 거주하고 있고, 나머지 15%는 면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군 전체 평균 연령은 45.4세인데 반해 두서면은 61.2세, 삼동면은 60.3세 등으로 면 지역의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여기다 울주군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지방소멸 지수가 ‘주의’ 단계였는데, 올해 5월에는 ‘위험’으로 급진입했다. 특히 두동·두서·상북·삼동면은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됐고, 온산읍은 ‘주의’에서 ‘위험’으로 전환됐다.
‘지방소멸’은 하루아침에 해당 지역의 땅이 사라진다는 뜻이 아니다. 서서히, 그리고 알게 모르게 인구가 줄어들면서 동네 약국이 하나 둘 문을 닫고 학교가 폐교되면서 소멸이 시작되는 것이다. 특히 의료, 복지, 교육, 문화시설 등은 서로 맞물려 있어 한번 빠져나가기 시작하면 통제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마을이 하나 사라지면 이웃마을이 사라지고, 곧 이어 면 전체가 흔들리면서 행정이 마비된다. 지금은 그나마 노인들이 살고 있지만 더 진행되면 노인도 없는 빈마을만 남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이런 지역에 왜 전기, 수도, 행정을 공급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된다. 사람이 안 살고 수도와 전기가 끊기면 치안도 안 되고 완전히 쓸모없는 땅이 돼 버린다.
우리나라 면 지역의 인구는 전체 인구의 10%도 안 될 정도로 줄었지만, 국토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3%에 달한다. 면 지역을 살리기 위해서는 급선무가 인구를 늘리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울주군이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오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맞춤형 인구정책 수립에 들어간다고 하는데, 늦었지만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이다. 항목별로 그리고 세부적으로 지원사업을 어떻게 펼쳐야 할지 울주군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까지 함께 힘을 모아 모범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