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시장은 부울경 인구감소와 수도권 집중을 막기 위해서는 공동 대응해야 한다면서도, 권한 이양 없는 행정통합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선을 그었다.
23일 김두겸 시장은 ‘저출생과 인구 소멸 부산·울산·경남 함께 길을 찾다’ 합동토론회에 패널로 출연해 부울경 지역이 당면한 저출생과 인구 소멸 문제를 포함한 여러 현안을 논의했다.
총 2부로 이뤄진 이번 토론회는 1부 ‘부산·울산·경남이 사라진다’를 통해 부울경 저출생과 인구 감소 실태, 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 사회의 문제점, 부울경 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 원인과 대책, 저출생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부울경 공동의 노력, 저출생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정부의 지원 등 저출생과 지역 소멸이라는 공동의제에 대해 논의했다.
김 시장은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 문화·관광 인프라 확대, 주택 공급 등 울산의 인구정책을 소개했다. 이어 “젊은 세대가 지역에 머무르고 아이를 낳아 기르기 위해서는 광역화가 필요하다”며 “청년들이 수도권이 아닌 울산, 부산, 경남에 일하고 즐기고, 머무르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2부 ‘뭉쳐야 살아남는다’에서는 부산·경남 행정통합 추진 계획, 부울경 광역철도,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구축 방안, 남해안권 발전특별법 통과의 필요성 등 수도권 일극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 시장은 이날 역시 행정통합에 대해 회의감을 드러냈다.
김 시장은 “지역이 주도해 지방 균형 발전을 추진하고 지역이 함께 잘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울경이 힘을 합쳐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성급한 행정적, 정치적 통합은 오히려 지방 경쟁력 약화 요인이 될 수 있다. 경제·산업 분야의 통합과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최우선 순위를 둬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울경이 하나의 경제공동체가 되고, 행정 수도권과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산업수도권 형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