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생활하다 쓸쓸히 생을 마감하는 고독사가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17일 발표한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고독사 사망자는 72명으로 전년 대비 22.0%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울산의 연평균 고독사 증가율은 14.4%를 기록했다. 죽음조차 소외돼 ‘사회적 타살’로 불리는 고독사가 늘어나고 있다.
고독사는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이혼 가구 증가, 은퇴 이후의 사회적·경제적 고립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다. 복지부 연구 결과 지난해 50대와 60대 고독사가 전체의 53.9%를 차지했으며, 고독사 사망자 중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5배 이상 많았다. 특히 ‘주택’에서 발생한 고독사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앞서 복지부가 올해 초 공개한 ‘2022년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연구’에선 1인 가구 10명 중 8명꼴로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1인 가구 고독사의 경우 실패와 상실감(사별, 결별, 실직, 사업 실패 등), 고립적 일상, 사회적 고립, 돌봄과 지원 중단 등이 고독사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 1인가구 고독사를 막기 위한 사회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울산의 1인 가구 비율은 30.9%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반면, 1인 가구 중 노인 가구 비율은 거의 40%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산업도시 특성상 중장년 남성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임대주택 내에서 고독사도 부쩍 늘었다. 최근 5년간 울산·부산지역 주택관리공단 관리 임대주택(영구·국민·공공임대) 내에서 자살·고독사는 총 74건으로 전국 12개 지사 중 1위를 기록했다.
울산지역 고독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사회 안전망이 취약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고독사 위험군도 지역 사회의 소중한 구성원이다. 지난해 한 경찰관은 저서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을통해 사회적 고립 해소에 나서야 한다고 호소한 바 있다. 소외되고 고립되는 이웃들이 없도록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긴밀한 협업을 통해 사회안전망을 더 촘촘히 짜야 한다.
울산은 2020년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했고, 2027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고령친화도시에 걸맞은 전략과 실질적 대책이 필요하다. 1인 가구와 고독사 고위험군에 대한 현황을 세심히 파악해 지속적 관리와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