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겸 울산시장이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세계적 공연장’ 건립 사업이 윤석열 대통령과 부울경 광역자치단체장들과의 만찬 자리에서 본격 거론됐다. 윤 대통령은 지난 18일 부울경 광역자치단체장들을 초청해 대통령 관저에서 만찬을 함께 했다. 이날 김 시장은 정책간담회 자리에서 세계적 공연장 건립과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등 여러가지 지역 현안을 건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세계적인 공연장’ 건립은 민선 8기 핵심 공약 중의 하나로, 울산시가 모든 행정력을 다 동원해 국비를 확보하려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시는 공연장 규모와 정체성 확립, 건립 비용 마련 방안 등을 연구하기 위한 ‘사전 타당성 및 기본구상 용역’을 진행한 바 있다. 현재 공연장 건립에 소요되는 예산은 500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이같은 예산은 국비 지원 없이는 거의 불가능한 규모다.
그럼에도 울산시가 굳이 ‘세계적인 공연장’ 건립을 추진하는 것은, 산업도시, 공업도시 일색의 울산을 문화·정원 도시로 이미지를 탈바꿈하기 위해서다. 이와 관련, 김 시장은 틈 날 때마다 인터뷰 등을 통해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에 버금가는 세계적인 관광명소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혀왔다. 실제 울산에는 민간 시설을 포함해 모두 27개의 공연장이 있지만 대부분 500석 미만이라 대형 공연을 기획하는 데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정부로부터 ‘울산의 정체성’이 담긴, ‘울산만의 문화예술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문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다시 말하면 ‘산업’과 ‘근로자’ 등을 아우를 수 있는, 울산만의 특색을 녹여낸 문화시설을 건립하라는 의미로 읽힐 수 있다. 울산시의 각종 보고에도 최근 ‘세계적인 공연장’ 대신 ‘울산 국제아트센터’가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정부의 언질이 울산시 정책에 반영된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개념이 모호했던 ‘세계적인 공연장’이 비로소 ‘울산 국제아트센터’라는 이름으로 우리 가까이 온 것이다.
그러나 국제아트센터 건립의 여정은 아직 멀고도 험하다. 이날 대통령과의 정책 간담회와, 이전부터 있어 왔던 것으로 알려진 울산시와 정부간의 교감이 결실을 맺기까지는 국가예산 지원을 위한 ‘밀당’이 필수적이다. 대통령이 아무리 울산 국제아트센터 건립을 심정적으로 수용한다 하더라도 예산의 키는 해당 부서가 쥐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내년 13억원 가량의 예산으로 본타당성조사용역과 기본 및 실시설계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제부터는 국비 확보를 위한 범시민적인 단합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