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김태선(울산 동구·사진) 의원이 22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종 후보지로 결정된 지역은 △울산 울주 회야강을 비롯해 △경기 연천 아미천 △강원 삼척 산기천 △경북 청도 운문천 △경북 김천 감천 △경북 예천 용두천 △경남 거제 고현천 △경남 의령 가례천 △전남 순천 옥천 △전남 강진 병영천 등 10곳이다. 주민 반대가 컸던 △강원 양구 수입천 △충북 단양 단양천 △충남 청양 지천 △전남 화순 동복천 등 4곳은 최종 후보지에서 제외됐다.
이번에 후보지로 확정된 10곳은 향후 기본구상, (예비)타당성조사, 관련기관 및 지역협의 등을 통해 댐의 위치, 규모, 사업비 등을 구체화하고, 기본계획 수립 등의 후속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 결정은 환경부가 공식 회의도 없이 실무진 논의만으로 후보지를 결정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 임시 후보지 14곳을 발표할 때까지 공식 회의 단 한 번 없었다. 신규 댐 후보지 선정을 위한 공식 회의는 지난해 9월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열린 ‘기후변화 대비 댐 관련 전문가 간담회’가 유일하다”며 “정부가 주민 의사는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댐 건설이 국민에게 불필요한 혼란만 가중시킨 만큼, 환경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상헌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