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박물관 기증유물 들여다보기]생생한 역사 담은 물건 가득
상태바
[울산박물관 기증유물 들여다보기]생생한 역사 담은 물건 가득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4.11.0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970년 학성여중 합창부의 악보모음집 '노래의 메아리'
▲ 목재 재떨이
▲ 제1회 울산공업축제 미술분과 도장
▲ 제1회 울산공업축제 미술분과 도장
▲ 생가죽을 기름에 절여서 만든 신 유혜(油鞋).
울산박물관에서 기증업무를 담당했을 때 유독 기억에 남는 분이 계셨다. 어느 중년여성분이셨는데 집안에서 소중하게 여기고 있던 사연있는 물건을 조심스레 가져오셨다. 기증자의 집안은 오랫동안 울산 울주군 온양읍에서 생활했다. 기증자의 기억 속에서 아버지는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가죽신을 책장에 보관했고 그림을 그리셨기에 제1회 울산공업축제 미술대회에서 미술작품을 평가하셨다.

음악을 사랑했던 집안에서 기증자는 합창단 활동을 했고 그 시절 귀한 메트로놈을 가지고 있었다. 추억이 가득하지만 울산의 생생한 역사가 가득한 집안의 물건들을 기꺼이 울산역사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가져오셨다. 기증된 유물들은 울산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활품들로 지역사를 조명하는데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할머니의 유품인 유혜(油鞋)는 생가죽을 기름에 절여서 만든 신으로 진땅에서 사용하는 용도이다. 할머니가 시집 올 때 가져왔던 것으로 돌아가신 뒤 유품으로 소중히 보관했다고 한다. 할머니는 당시 울산군수의 딸로 독사진을 남길 정도로 명망있는 집안이었다. 할아버지가 사용했던 목재 재떨이는 담뱃재의 흔적과 물감의 흔적들이 남겨져 있어 미술을 하는 아버지가 할아버지의 유품을 활용했던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목재 재떨이에 균열이 갔지만 쇠붙이로 연결하여 잘 보관했다. 울산 미술계에서 큰 활약을 하셨던 아버지가 남긴 제1회 울산공업축제 미술분과 도장은 울산공업축제를 재조명하는 자리에 단골 유물로 전시되고 있다.

기증유물 중 <노래의 메아리>라는 책자가 있다. 기증자가 1970년 학성여중 재학시절 합창부 수상 기념으로 제작한 것으로, 가사와 악보 300곡이 실려 있고 1970년 9월25일에 발간되었다. 1960년대 이후 울산시민들로 구성된 합창단의 활동이 활발했고 울산초등학교부터 직장인들까지 합창단이 많이 조직되었다. ‘울산큰애기’ 합창곡은 너무도 유명하여 합창단 부흥에 큰 힘이 되었다.

기증된 책자는 1970년 합창문화와 울산교육문화까지 동시에 살펴볼 수 있고 수상기념 한정판으로 시중에 볼 수 없는 희귀한 책자로 더욱 가치가 있었다. 기증자는 종종 박물관을 방문하여 기증유물이 잘 전시되고 있나 관심을 꾸준히 가져주신다. 기증 증서에 서명할 때 이름만큼 고운 글씨체는 아직도 기억에 남아있어 유물을 볼 때마다 감사한 마음과 함께 떠올리게 된다. 최영하 울산박물관 학예연구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