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내의 초록지문(11)]우드 와이드 웹
상태바
[송시내의 초록지문(11)]우드 와이드 웹
  • 경상일보
  • 승인 2024.11.2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송시내 나무의사·수필가

따끔, 손가락을 물렸다. 산책을 마치고 옷을 갈아입던 중이었다. 무엇일까, 한참을 들여다보니 도깨비방망이처럼 몸에 가시가 가득한 녀석이 옆구리에 붙어있다. 도꼬마리였다. 녀석이 어디론가 떠나겠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사람 사이의 대화처럼 사람과 식물, 식물끼리도 소통할 수 있을까. 한때는 상상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그것이 과학적인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는 월드 와이드 웹(WWW)처럼 나무들은 땅속에서 뿌리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만든다. 우드 와이드 웹(Wood Wide Web)이다.

소통을 위한 매개체는 균근류, 곧 뿌리곰팡이다. 거미줄처럼 연결된 뿌리와 공생하는 곰팡이는 물과 영양분, 병충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그들의 교류는 단순한 물질 교환을 넘어 어린나무와 하층 식물을 돌보는 역할도 한다. 숲은 이런 상호작용 덕에 안정과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며, 개별 나무들의 집합체를 넘어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로 존재한다.

▲ 우드 와이드 웹은 나무와 나무, 이끼들, 균류들이 사방으로 뻗은 잔뿌리를 통해 서로 소통하고 영양물질을 주고받기도 한다는 수잔 시마드(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삼림생태학 교수)의 연구이다.
▲ 우드 와이드 웹은 나무와 나무, 이끼들, 균류들이 사방으로 뻗은 잔뿌리를 통해 서로 소통하고 영양물질을 주고받기도 한다는 수잔 시마드(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삼림생태학 교수)의 연구이다.

최근 첫 책을 발간하며, 사람의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나무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건강한 숲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우리 역시 끊임없이 누구에겐가 영향을 받고 또 타인에게 영향을 끼친다. 때로는 타인에게 의지하기도, 누군가의 뿌리가 되기도 한다. 정보와 경험, 위로와 치유를 나누며 서로의 성장을 돕는 것이다.

숲의 큰 나무들이 빛을 혼자서 차지하지 않고 아래로 나누어주는 것처럼, 내게도 선배들이 그러했다. 자신들의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를 아낌없이 내어준 덕에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나 역시 때가 되면 후배들을 위해 얻은 경험을 기꺼이 공유하게 될 것이다.

외부적이든 내부적이든 영향을 받지 않고 성장하는 방법은 없다. 하물며 저 도꼬마리 열매도 내 옆구리를 빌려 떠날 준비를 하고 있으니. 나는 타인을 위한 어떤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을까. 우리가 사는 아름다운 관계, 원더 와이드 웹(wonder-wide-web)이라 이름을 붙여 본다. 이 네트워크 안에서 삶은 온기를 나누며 더 발전하기를.

그런데 문득 궁금해진다. 저 도꼬마리는 어디에 정착하고 싶은 것일까. 나는 또 어디로 새로운 뿌리를 펼칠 수 있을까.

송시내 나무의사·수필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