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명실상부한 선진 스포츠도시로의 위상을 갖추게 됐다. 울산체육공원 일대에 쳐져 있는 그린벨트가 해제되기 때문이다. 이 그린벨트가 해제되면 유스호스텔을 비롯해 도심형 카누슬라럼센터(경기장) 등 다양한 시설들이 들어설 수 있게 된다. 울산은 그 동안 전국 대도시에 비해 체육시설이 매우 빈약했다. 하지만 조만간 그린벨트 해제가 이뤄지고 각종 시설들이 들어서면 울산은 일약 선진 스포츠도시로 올라서게 된다. 여기다 각종 레저시설까지 들어서면 울산은 그야말로 ‘꿀잼도시’의 기반을 갖추게 된다.
울산시는 20일 개최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옥동·무거동, 울주군 청량읍 일원에 위치한 울산체육공원 부지 93만㎡을 그린벨트에서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그린벨트 해제는 지난해 중구 다운동 해제에 이은 두번째 대규모 해제다. 그린벨트 해제는 김두겸 울산시장의 공약으로, 앞으로도 그린벨트 해제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울산체육공원은 2002년 월드컵 대회를 위해 조성됐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화장실, 주차장 등 시설확충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그린벨트로 묶여 있는데다 환경평가 1등급 저수지와 1·2등급 수목이 있어 해제에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울산시는 산림훼손 및 수질오염 최소화 방안을 마련하고 오랜 시간 대정부 설득작업에 들어가 마침내 오는 28일 그린벨트 해제 고시를 하게 됐다.
울산체육공원 그린벨트 해제는 단순한 토지규제 해제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 동안의 개발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울산체육공원 자체가 하나의 스포츠 콤플렉스로 바뀌고 각종 시설들은 시민들을 위한 수준 높은 힐링공원으로 변모하게 된다. 특히 100실 규모로 지어질 유스호스텔은 300명의 선수단이 체류할 수 있어 스포츠도시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다.
국내 최초의 도심형 카누슬라럼센터(경기장) 건립 계획도 눈길을 끈다. 국제대회 규격을 충족하는 이 시설은 국제대회 유치와 전문 선수 육성을 위한 훈련 시설을 갖춘다. 비시즌에는 시민들이 레프팅, 카누체험, 물놀이, 빙상체험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이번 울산체육공원 그린벨트 해제는 울산이 ‘꿈의 도시’ ‘유잼도시’로 한걸음 더 다가가는 징검다리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깊다. 특히 김두겸 시장의 후반기 정책기조의 하나가 문화·체육 활성화인 점을 감안하면 이번 울산체육공원 그린벨트 해제는 향후 울산 문화·체육 육성책의 기폭제라 할 만하다. 울산시와 울산시민들이 하나 돼 울산이 국제 스포츠 중심도시로 나아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