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초 ‘대한민국 문화도시(이하 문화도시)’ 후보지로 진주시와 통영시 등 13곳을 선정했다. 경남 양산시는 여기에 포함되지 못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천년고찰 통도사를 비롯해 유서 깊은 전통문화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양산시가 문화도시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문화재단’의 부재라는 지적이다.
문화도시는 문화예술, 문화산업, 관광, 전통, 역사 등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지역의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하는 도시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차에 걸쳐 ‘법정문화도시’를 지정하고 도시별 특성에 따라 5년간 국비와 지방비 최대 200억원을 지원한다.
문화도시의 목표는 ‘지역 문화’가 중·장기적으로 도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이 되고, 각 문화도시가 고유한 문화적 브랜드를 창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 동안 4차에 걸쳐 전국에 24개의 법정문화도시가 지정됐다. 양산시와 인접한 김해시가 제2차, 밀양시가 제3차 문화도시로 지정됐으며, 창원시도 제4차 문화도시 후보지로 이름을 올렸다. 부산·울산시도 이미 이름을 올렸다.
문화도시는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정책인 4대 특구 중 문화특구다. 문체부는 지난해 6월 권역별 7곳에 2024년부터 2027년까지 4년간 1400억원을 투입하는 공모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11월 마감까지 전국에서 42곳의 지자체가 신청했다. 이 중 13곳이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들은 문체부의 내년 예비사업 추진 실적평가 결과에 따라 2024년 12월 문화도시에 최종 지정되며, 2025년부터 3년간 1곳당 국비 100억원을 포함해 최대 200억원을 지원받는다.
양산시는 경남 8개 시 중 유일하게 문화재단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이에 양산시는 지난해 시의회 부결 이후 답보 상태에 있는 양산문화재단 설립을 재추진하고 나섰다. 문화도시로 향한 의지를 피력하며 시민들의 문화·예술 욕구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서다. 또 ‘2026년 양산방문의 해’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구심점 역할을 담당할 문화재단 필요성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양산시는 현재 개회 중인 양산시의회 정례회에 ‘2025년 양산문화재단 출연금 동의안’을 제출했다. 양산시의회는 지난달 27일 기획행정위원회에서 이를 심의하고 통과시켰다. 제동이 걸렸던 양산문화재단 설립 사업이 1년 6개월 만에 시의회 문턱을 넘은 것이다.
시는 내년 상반기 추경에서 관련 예산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출연금으로 36억원을 산정하고 있으며, 내년 7월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민들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미래 문화도시를 선도할 양산문화재단 탄생을 기대해본다.
김갑성 편집국 양산·기장본부장 gskim@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