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디스토피아, 국가예산 ‘역차별’ 해소에 달렸다
상태바
[사설]울산 디스토피아, 국가예산 ‘역차별’ 해소에 달렸다
  • 경상일보
  • 승인 2024.12.1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2025년 정부 예산 2조6029억 원을 확보했다. 시는 ‘사상 최대’ 규모라고 밝혔지만, 지난 8월 말 정부안보다는 소폭 감액돼 아쉬움을 남겼다.

특히 울산 이차전지 특화 단지 성능 시험장 구축, 새싹 기업 지구(스타트업 파크) 조성, 카누 슬라럼 센터 건립, 2028년 국제정원박람회 관련 사업, 울산 도시 철도 1호선 건설 등 지역 성장 동력 확충 및 인프라 확충 관련 사업들이 국비 확보에 실패했다.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주요 사업을 증액하기 위한 울산시와 지역 정치권의 전방위적인 노력에도,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그간 국가 기여도에 비해 턱없이 못 미치는 국가 예산 배정의 불합리성을 개선해 달라는 울산 지역사회의 요구는 또 다시 ‘소리 없는 메아리’로 끝나고 말았다. 이에 지역 사회에서는 정부와 정치권의 ‘울산 푸대접’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울산은 연간 20조원에 육박하는 국세를 납부해 국가 재정에 기여도가 높은 산업도시다. 그러나 울산이 배정받은 국가 예산은 쥐꼬리 수준에 그치고 있다. 내년도 국가 예산 배정액 역시 울산의 국세 납부액 대비 15%도 채 안된다. 이런 푸대접 기조는 1997년 광역시 승격 이후 고착화되고 있다.

울산과 달리 다른 경쟁 도시들은 ‘사상 최대’ 국비 확보 성과로 잔칫집 분위기다. 시세가 비슷한 광주는 전년보다 4.4% 증액한 3조3858억원의 국비를 확보해 울산과 격차를 더 벌렸다. 대전은 올해보다 4.1% 증가한 4조4514억원, 대구는 2.4% 증가한 8조3569억원의 국가예산을 각각 확보했다. 또 충남(7%), 경남(3.5%), 경북(3.2%) 등도 증액에 성공해 곳간을 국비로만 10조원 이상 채웠다.

국가 예산은 지역의 성장 동력이자, 미래를 위한 중요한 투자 재원이다. 국가 재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울산이 국가 예산을 적정하게 배분해 달라는 것은 지극히 정당한 요구이자 권리다. 세금을 더 많이 내는데도 국비 배분을 적게하는 것이 차별이고, 역차별이다.

울산은 전통 주력 산업이 쇠퇴하면서 ‘디스토피아’라는 불안한 미래를 맞이하고 있다. 울산이 지역 소멸 위기를 딛고 다시 성장 궤도에 안착하려면, ‘국가 재정 역차별’부터 해소해야 한다. 시는 핵심 사업이 2025년 추경 예산에 확보될 수 있도록 사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