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전국에서 최고 수준의 보험료를 내지만 의료기반은 최악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과 지방간의 의료격차가 있다는 사실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울산이 의료기반 면에서 이렇게 취약할 줄은 몰랐다고 시민들은 말하고 있다. 특히 건강보험료를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이 내면서 의료서비스는 덜 받고 있다는 것은 시민들에게 허탈감을 안겨주기에 충분하다. 이는 울산에 대한 정주의식 약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러운 일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2일 발간한 ‘2023년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의사 수는 16만6197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서울에서 활동 중인 의사는 28%에 달하는 4만6624명으로, 전국 의사 인력의 약 3분의 1이 서울에 집중돼 있다. 반면 울산의 의사 수는 2790명으로 전체 의사의 1.7%에 불과했다. 간호사 수는 광주가 10만 명당 754명으로 가장 많았고, 울산은 509명으로 전국 9위에 그쳤다.
울산의 요양기관 수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병·의원, 보건소, 약국 등을 포함한 요양기관은 총 10만1762곳이 등록돼 있었으며, 이 중 울산은 1.8%인 1865곳만 위치해 있었다. 이는 서울(22.8%)과 비교할 때 약 13분의 1 수준이다.
안 그래도 울산은 전국 최악의 의료취약지로 알려져 있는 곳인데, 이번 통계에서 그 사실이 재차 확인된 셈이다. 그러다보니 울산시민들은 기를 쓰고 수도권 병원으로 달려가고 있다. 최근 5년간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100만명 이상의 암 환자가 ‘빅5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는데, 울산 환자가 3만1000명에 달했다고 한다. 최근의 복지부 조사에 의하면 지역의료기관 입원환자 중 ‘지역환자 구성비’가 가장 낮은 곳은 서울로, 59.7%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 말은 서울에 있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40%는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왔다는 뜻이다.
더욱이 울산은 타 시도에 비해 더 많은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시민들을 허탈하게 하고 있다. 통계연보에 의하면 울산시민 가운데 91.2%는 직장보험가입자이며, 세대당 평균 15만9675원을 납부했다. 이는 서울(16만5336원), 세종(16만985원) 다음으로 많은 수준이다.
의료인력 부족은 시민건강권 뿐만 아니라 인구 유출과도 직결돼 있다. 울산시와 정치권은 울산의 상황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해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