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노후 저층 주거지역 3곳이 ‘뉴빌리지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재개발·재건축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에 민간이 주택을 정비하면 금융·제도적 인센티브와 함께 공공의 기반·편의시설 설치를 패키지로 지원하는 민생 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시재생 사업지가 된 것이다. 이 사업이 제대로 완료되면 이들 노후 저층 주거지 일원은 아파트 수준의 생활 편의시설을 갖춘 ‘뉴빌리지’로 거듭나 획기적인 정주환경 개선이 기대된다.
울산시는 국토교통부의 뉴빌리지 선도 사업에 울산 중구 태화동 태화지구, 남구 신정1동, 북구 강동동 정자지구 등 3곳이 선정돼 내년부터 5년간 1곳당 300억원(국비 150억원, 시·구비 1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된다고 밝혔다.
중구 태화동 노후 저층 주거지역에는 아파트 수준의 기반·편의시설을 조성하고, 주민이 자율주택정비를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 1960년대 개발된 남구 신정1동 노후 저층 주거지역에는 주민 수요에 기반한 주차장, 노인 문화교육·돌봄시설 등 편의시설을 공급하고, 주민 주도의 노후주택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북구 정자항 배후 노후 저증 주거지역에는 주택 공급을 유도할 수 있는 도로 개설등 주택정비사업을 지원하고, 수요대응형 기반·편의시설을 공급한다. 주거 격차와 일상불편이 없는 살고 싶은 정자지구 제로빌리지 조성이 목표다.
이런 장기 도시재생 사업이 성과를 내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 중앙 정부 또는 지방정부의 권력 변동시 흔들리지 않는 사업의 지속 가능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지금처럼 탄핵정국이라는 정치적인 불확실성은 벌써 이 사업의 ‘지속 가능성’에 물음표가 딜린 상황이다.
또 하나의 성공 요건은 적기 사업 예산 확보와 집행이다. 1곳 당 3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기에 정부나 지방정부에서 적기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의 추진이 지연되거나 중단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방안도 꼭 마련되야 한다.
해당 지자체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사업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자기 지역의 문제와 개선 방안은 거주민이 가장 잘 알고 있어서다.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이유다. 내년에는 울주군과 북구도 뉴빌리지 사업지로 선정될 수 있도록 대응 전략을 잘 세워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