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민생과 직결된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대통령과 국무총리 탄핵 등 정치 불안으로 인한 환율 상승(원화 약세)과 오랫동안 잠재한 고물가 요소가 상호 결합하며 물가불안 방아쇠를 다시 당길 조짐이다.
환율 상승 요인은 식재료와 원유 수입 가격을 끌어올려 즉각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고 있으며, 계절과 기후에 따라 가격 변동이 심한 과일, 채소, 해산물 등 신선식품 가격 상승세는 장바구니 물가 불안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획재정부는 2일 올해 국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공공요금 인상 요인을 최소화하고, 불가피하게 요금을 인상하더라도 시기를 분산하거나 늦추기로 했다. 한전의 전기료, 지자체의 교통비 등의 공공요금이 인상압박을 받고 있으나,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공공요금 등 인상요인을 최소화하고, 불가피한 경우 시기 분산과 이연 등으로 국민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유류세 인하 조치를 2월 말까지 두 달 연장했다.
정부의 이번 방침으로 울산시의 택시 기본요금 인상 계획에도 제동이 걸릴 조짐이다. 시는 지난달 물가대책위원회에서 택시요금 기본요금을 현재 4000원에서 500원 인상하기로 결정하고, 올해 상반기 인상요금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최근 3년간 울산의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소비자들이 자다가도 경기를 일으킬 정도로 급등세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누계 울산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대에 육박했다. 이 중 신선식품 물가는 3년간 무려 20%나 폭등했다.
2025년 해가 바뀌어도 물가 불안은 소비자 밥상을 강타하고 있다. 배추와 무는 ‘금값’이 됐고, 사과와 귤, 토마토 등 과일과 채소, 해산물 가격도 치솟고 있다. 여기에 초콜릿 과자·음료, 건전지·샴푸 등 생필품과 화장품은 물론 프랜차이즈 치킨 가격도 줄줄이 올랐다. 소비재 기업들은 환율 불안과 임금인상 등의 인상요인을 스스로 흡수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떠넘기고 있다.
물가안정이 곧 최고의 민생안정 대책이다. 가뜩이나 무정부 상태를 방불케하는 어수선한 정국이다. 물가 불안은 자산가치 하락에다 소득까지 줄어든 서민들의 삶을 더 궁핍하게 할 뿐이다. 도탄에 빠진 대한민국 민생 경제, 서민들의 고통을 덜어줄 민생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