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는 23일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열고 ‘2024년 4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현대차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대비 7.7% 증가한 175조2312억원, 영업이익은 14조239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8.1%을 나타냈다.
지난해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으로 판매가 늘고 평균 판매단가도 오르면서 매출이 늘었다.
다만, 연말 환율 급등으로 판매보증충당금이 늘고 인센티브도 확대되면서 영업이익은 한 해 전(8873억원)보다 5.9% 줄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3조2299억원으로 2023년(12조2723억원)보다 7.8% 늘었다.
지난해 현대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친환경차를 전년비 8.9% 늘어난 75만7191대 판매했다.
전기차가 21만8500대, 하이브리드 49만6780대였다. 지난해 연간 도매 판매 대수는 전년비 1.8% 감소한 414만1959대였다.
2024년 4분기 현대차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46조6237억원, 영업이익은 17.2% 감소한 2조8222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6.1%를 나타냈다. 당기순이익은 2조4742억원이었다.
지난 4분기 현대차 글로벌 도매 판매는 전년동기보다 2.2% 감소한 106만6239대를 기록했다. 국내시장에서는 전년비 4.6% 줄어들은 18만9405대를, 해외에서는 1.6% 줄은 87만6834대를 판매했다.
현대차는 올해 글로벌 판매 목표를 417만대로 세웠다.
전기차 관련 북미 현지 생산 체계를 본격 가동하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하이브리드차를 앞세워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올해 주요 시장의 성장률 둔화, 전기차 캐즘 등에 대응해 △리스크 관리 역량 제고 △품질 확보 △원가 개선 △판매 효율화 △내부 혁신 △대내외 소통 강화 등을 추진한다. 또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환 대응, 미국 전기차 공급망 구축, 지속적인 미래 기술력 확보를 위해 △R&D(연구개발) 6조7000억원 △설비투자(CAPEX) 8조6000억원 △전략투자 1조 6000억원 등 총 16조9000억원을 투자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급변하는 대외 환경으로 손익 변동성이 확대됐지만 북미 지역의 판매 확대·하이브리드 비중 증대 추세가 이어지며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공동구매 계약 및 상용차 개발 등 협력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승조 현대차 기획재경본부장은 이날 지난해 4분기 및 연간실적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GM과의 협력 진행 정도를 묻는 말에 “하나의 아이템에서 바인딩(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 중”이라며 “양사의 공동구매에서 이러한 계약을 체결 중이고, 조만간 될 걸로 본다”고 밝혔다.
이어 “북미 등에서 아이템을 선정해서 공동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