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런 내용의 ‘미래 지역 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한다고 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 특성에 맞는 분산에너지 관련 신사업을 발굴해 지역 기반의 에너지 생산·소비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비수도권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분산에너지는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를 다른 지역으로 보내지 않고 해당 지역에서 소비한다’는 지산지소 개념을 갖고 있다.
이번 사업 역시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근거로 한다.
울산시는 전력 수요가 밀집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준비 중인데, 이미 설치된 수소배관망 등 인프라를 활용해 탄소 중립 산업단지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산업부는 VPP와 ESS 등 분산에너지 기술 상용화에 총 14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VPP(Virtual Power Plant)는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각각 흩어진 에너지 자원을 연결한 뒤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인프라를 말한다. ESS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시스템이다. 구체적인 지원 분야는 △분산자원 활용 플랫폼 구축 △전력계통 유연성 확대 △분산에너지 생산설비 관련 사업 등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이달 24일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의 접수를 받는다.
중소·중견기업, 대기업, 비영리법인, 협동조합, 공기업 등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통한 분산에너지 시스템 활성화를 위해 해당 특화지역에 대한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화지역 선정은 다음 달 지자체 공모를 거쳐 오는 6월 이뤄질 전망이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