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예년보다 2주 이상 빨리 ‘국가예산 확보전략 보고회’를 열고, 내년도 국가예산 챙기기에 나섰다.
예산 확보의 첫 단추인 부처안 편성단계부터 정부 부처와의 협력을 강화해 주요 핵심 사업 예산을 최대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울산시는 6일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2026년도 국가예산 확보전략 보고회’를 열고, 내년도 주요 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확보 전략을 논의했다. 김두겸 시장을 비롯해 행정부시장, 경제부시장, 실·국장, 국가예산담당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회의에서는 국가예산 신청 계획과 확보 대책이 집중 점검됐다.
시는 2026년도 국가예산 확보 목표를 2조9000억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2025년 국가예산 확보액 2조6029억원 대비 2971억원(11.4%)이 증가한 수준이다. 시는 △R&D 비즈니스밸리 연결도로 개설사업 △광역 재활용품 공공선별장 건립 △배터리특성화 대학원 지원 사업 등 신규 사업 발굴에 중점을 두고 국비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연구개발(R&D) 기반 산업단지의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는 ‘R&D 비즈니스밸리 연결도로 개설사업’은 2029년까지 총 929억원을 투입해 진행될 예정이다.
광역 재활용품 공공선별장 건립에는 366억원을 투자해 남구 성암소각장 인근 유휴 부지에 하루 110t 규모의 재활용품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공공선별장 건립 기본 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했으며, 현재 환경부와 협의 중이다.
예산이 확보되면 내년에 실시설계를 거쳐 2027년 착공해 2029년 6월 준공 예정이다. 시는 준공 이후 시운전을 거쳐 2030년 정상 가동하며 민간 위탁 운영할 계획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광역 재활용 공공선별장은 제주특별자치도가 운영하는 것이 유일하다. 나머지 지역은 기초지자체가 공공선별장을 운영하고 있다.
배터리 특성화 대학원 지원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배터리 산업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첨단전략산업 특성화대학원에 선정되면 △산업계 수요기반 R&D 프로젝트 중심 교육 △산업계 전문가 교원을 활용한 현장밀착교육 등을 진행하며, 배출 인력에 대해서도 채용 매칭, 취업 컨설팅 등 사후관리를 지원한다.
시는 배터리 특성화 대학원 지원을 통해 현장 실무 중심의 배터리산업 맞춤형 교육·연구 인프라를 더욱 확대하고 산학협력 생태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배터리, 반도체 전문가를 양성하는 핵심 허브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복안이다.
신규 사업뿐만 아니라 주요 계속 사업의 국비 확보에도 집중한다.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480억원), 남부권 광역관광개발사업(311억원), 성암소각장 1·2호기 재건립(239억원) 등 계속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도 지속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다. 특히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을 위해서는 1000억원 이상의 국비 확보가 필요하다.
시는 정부의 긴축 재정 기조 속에도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2조6029억원의 국비를 확보한 만큼, 내년에도 적극적인 예산 확보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날 보고회에서 “울산의 재도약을 위해 민생경제 회복, 산업경쟁력 강화, 미래 성장동력 확보 등 정부 정책과 연계한 신규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복지, 문화, 체육, 교통 등 시민 체감도가 높은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업을 구상해 국비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