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교육청은 학생들의 귀가 안전을 강화하고자 학교별 세부 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점검을 강화하고, 귀가안전도우미를 확대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우울증 등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교사 현황을 파악해 치료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 희망하는 교원을 대상으로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전문상담 기관 및 병원 치료가 필요한 교원을 대상으로 상담비 및 치료비를 지원한다. 개인 심리상담과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병원 8곳과 상담기관 14곳을 통해 교원의 마음건강 회복에 나선다.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한 교원을 대상으로 치유 중심의 전문적인 프로그램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 교원의 마음 탄력성 회복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교육청은 돌봄교실 안전 강화를 위해 돌봄교실에 안심알림서비스(문자 등), 비상벨, 인터폰 및 CCTV를 설치한다.
또 인근 경찰서와 협조를 강화해 학생 귀가 시간 정기적인 순찰 등을 확대하고, 비상 연락망 구축 등 안전관리 시스템을 강화한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돌봄지원 인력 배치를 확대해 돌봄 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계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으로 정신병력 교원에 대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 울산을 비롯해 일부 시도에서 운영 중인 질환교원심의위원회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현재 울산에서는 정신적·신체적 질환으로 장기적·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직무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교원을 질환교원으로 정하고 있다.
다만 정신질환 병력은 개인의 민감한 정보인 만큼 이를 교육당국이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지역 교육계 관계자는 “정신적 질환 등을 이유로 직무 수행이 현저히 곤란해 문제가 되는 교원에 대한 교직 수행 가능 여부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