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시교육청은 교원들의 안정적인 교육활동을 지원하고자 교육활동보호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교육활동에 침해를 받은 교원은 센터와 업무협약을 맺은 병원이나 상담기관을 방문해 각종 치유·회복·복귀 지원을 받고 있다.
센터와 업무협약을 맺은 병원·상담기관은 올해 기준으로 36곳이다.
문제는 업무협약을 체결한 병원이나 상담기관들이 울산에만 있는 탓에 부산 기장이나 정관, 양산 등에 거주하는 교원들은 장거리 치료·상담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병가 등으로 출근하지 않는 교원들은 전문적인 치료나 상담을 받기 위해 다시 울산까지 방문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지역의 한 교사는 “병가를 내고 집에서 쉬고 있는데, 정해진 날짜에 심리 상담을 받기 위해 울산까지 주기적으로 가고 있다”며 “집 근처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교육활동보호센터는 상담비 책정 등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당장 해결은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교육활동보호센터 관계자는 “센터에서 정한 평균 상담비는 10만원가량인데, 지역이나 기관마다 금액 차이가 있어 조율하는 게 쉽지 않다”며 “또 전문인력 배치나 상황을 잘 모르는 기관과 섣불리 협약을 맺을 수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다른 지역에 거주 중인 울산 교원들의 치료를 위한 연계를 확대하기 위해 부산, 경남 장학사들과 협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다예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