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울산시교육청이 발표한 ‘학교 내 학생 휴대전화 사용과 제한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휴대전화 수거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는 질문에 학부모 중 70.2%가 ‘수거 필요’를 선택했다. 이어 ‘쉬는 시간에 허용’(16.7%), ‘수거할 필요 없음’(13.2%)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학부모의 경우 수거가 필요한 이유로 ‘수업 방해 예방’(46.2%)을 가장 많이 언급했고, ‘사이버폭력 예방’(26.6%)과 ‘불법 촬영 예방’(24.3%)을 비슷한 비율로 선택했다. 수거가 불필요한 이유로는 ‘긴급상황 시 전화 사용’(33.9%)이 비교적 많았고, ‘학교생활에 문제 없음’(10.5%)도 일부 있었다.
교원의 74.6%도 ‘수거 필요’라고 응답했다. ‘수거할 필요 없음’은 19.7%, ‘쉬는 시간 허용’은 5.7%에 불과했다.
교원들은 수거가 필요한 이유로 ‘수업 방해 예방’(39.8%)을 가장 많이 꼽았고, ‘사이버폭력 예방’(27.9%)도 응답 비중이 컸다. ‘쉬는 시간 개별 학습용’은 5.4%에 그쳤다. 수거가 불필요한 이유로는 ‘학교생활에 문제 없음’(44.1%)이 많았고, 이어 ‘긴급상황 시 전화 사용’(21.3%)이었다.
반면 학생의 반응은 전혀 달랐다. 학생 중 52.5%가 ‘수거할 필요 없음’이라고 응답했다. ‘쉬는 시간에 허용’(23.8%)과 ‘수거 필요’(23.7%)는 응답 비율이 비슷했다.
학생들은 휴대전화 수거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학교생활에 문제 없음’(29.7%), ‘긴급상황 시 전화 사용’(26.5%), ‘쉬는 시간에 사용’(25.7%), ‘쉬는 시간 개별 학습용’(15.6%) 순으로 꼽았다. 수거가 필요한 이유로는 ‘수업 방해 예방’(50.3%)이 절반가량을 차지했고, ‘불법 촬영 예방’(23.6%), ‘사이버폭력 예방’(20.3%)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12월16~31일 온라인·모바일 방식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는 초등학교 4학년 이상부터 고등학생까지 학생 7610명, 교원 1903명, 학부모 5490명이 참여했다.
시교육청은 이 자료 등을 토대로 이날 ‘학교 내 학생의 건강한 휴대전화 사용 문화 조성을 위한 교육공동체 원탁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는 학생, 학부모, 교사 등 교육 주체와 시의원, 울산교총·울산전교조·울산교사노조 등 교원단체, 교육청 담당자 등 60여 명이 참여했다.
토론회에서는 ‘교칙에 따라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 ‘점심시간에도 수거가 필요하다’ ‘학생 자율에 맡겨 스스로 절제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다만 교육주체 모두 불법 촬영이나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휴대전화 수거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점은 동의했다.
울산시교육청 관계자는 “토론회 결과를 전 학교에 안내하고, 학교별 실정에 맞는 규칙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