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적 학교는 학생 간 사소한 갈등이 학교폭력으로 번지거나 신고 후 관계가 악화하는 문제를 예방하고, 학교 공동체가 협력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고자 마련됐다. 기존 징계 중심의 대응에서 벗어나 관계 회복에 중점을 둔 해결책을 제공한다.
시범 운영 학교는 초등학교 7곳, 중학교 9곳, 고등학교 3곳, 각종학교 1곳이다. 이들 학교는 ‘회복적 학교 만들기’ 계획에 따라 1년 차에는 ‘이해와 훈련’, 2년 차에는 ‘실천과 적용’, 3년 차에는 ‘구조와 운영’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와 함께 교직원 대상 집중 연수, 학급 단위 회복적 생활교육, 학부모 회복적 생활교육, 학교별 담당관과 공동체 갈등 조정관 양성, 학교 공동체 회복위원회 운영 지원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시범 학교는 3월28일까지 회복적 학교 교원 대상 신학년 집중 연수를 각 학교 운영 계획에 따라 진행할 예정이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