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푸드뱅크는 매년 지자체가 지정하는 위기 가구에 필요한 식품을 기부받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경제적 취약 계층을 돕는 마지막 보루로 자리잡은 푸드뱅크는 식품 후원과 배분을 담당하지만 정작 이를 운영할 인프라가 부족해 서비스의 지속성과 확장성이 제한되고 있다.
실제로 울산의 푸드뱅크 거점 수는 10곳에 불과하다. 비슷한 인구 규모를 가진 대전의 19곳과 비교했을 때 절반 수준에 그친다.
적은 거점 수 때문에 각 센터에서 담당하는 이용자 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광역 푸드뱅크와 울주군을 제외한 8곳의 기초 단위 푸드뱅크에는 전담 인력이 아예 없거나 한 명뿐이어서 인력난에 시달리는 게 현실이다. 2024년을 기준으로 중·남·동구에 각각 1명의 전담 직원이 운영을 맡고 있으며, 북구는 별도의 전담 인력 없이 북구자원봉사센터 담당 직원 1명이 업무를 병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부 물품의 수령, 배송, 행정 업무 등을 소화하기 위해 사회복무요원과 자원봉사자들이 투입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임시방편은 사업의 지속성과 서비스 확장을 보장하기에 역부족이다.
이런 가운데 울산 지역 푸드뱅크의 지난해 이용자 수는 2820명에서 3344명으로 증가했고, 기부금은 26억원에서 31억원으로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는 등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다만 증가하는 수요와 기부금에도 제한된 인력과 부족한 거점 시설은 현행 운영 체계를 겨우 유지하는 수준에 머물게 하고 있다.
푸드뱅크 관계자는 “푸드뱅크는 당장 생계가 어려운 긴급 위기 가정에 꼭 필요한 식품을 전달하는 최일선 복지기관”이라며 “매년 기부 금액이 늘어나는 만큼 더 촘촘한 복지 제공을 위해 거점 확장과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