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고율 관세부과 계획(4월 초)을 밝히면서 ‘자동차 도시’ 울산 자동차의 산업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자동차는 울산 최대의 주력산업으로, 대미(對美) 수출액 중 자동차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64%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트럼프발 관세폭탄이 현실화될 경우 울산 자동차 산업과 경제 전반에 직격탄이 우려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3일 무역수지 적자국을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 부과 결정 각서에 서명하면서, 이르면 4월 초 우리나라에도 맞춤형 상호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는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언급해 충격파가 우려된다.
이와 관련, 투자은행(IB) 씨티는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 부품, 의약품, 반도체 등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나라 GDP가 0.203%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정치불안으로 벼랑 끝에 선 한국경제에 충격을 주는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발 관세폭탄이 현실화할 경우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곳은 울산이다. 지난해 울산의 자동차(부품 포함) 수출액은 총 297억 달러 규모로, 이는 지역 총 수출액의 33.7%를 점유한다. 이 중 대미 완성차 수출액은 150.2억 달러로, 지역 자동차 수출액의 절반(50.5%)을 웃돈다.
이에 관세폭탄이 터지면 현대차가 국내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투싼, 아반떼, 싼타페, 팰리세이드 등 주력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져 수출에 타격을 받게 된다. 이럴 경우 울산은 ‘조선’과 ‘석유화학’에 이어 또 한차례 산업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는 앞서 지난 2017년 재임시에도 한국자동차에 관세(25%) 부과 계획을 밝혀 울산 자동차 업계가 발작증세를 일으킨 바 있다. 당시 정부는 현대차의 미국 수출길이 막히면, 울산공장 1~2곳이 문을 닫을 수도 있다는 최악의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트럼프의 입은 다행히도 한미 FTA 재협상을 유리하기 이끌기 위한 ‘엄포용’으로 끝났다.
그로부터 8년 만에 트럼프발 ‘관세 시한폭탄’이 또 다시 터지기 직전이다. 정부와 상공계는 부랴부랴 워싱턴행에 나서 물밑접촉에 돌입했다. 이번에는 어떤 형태로든 ‘청구서’가 나올 것이 확실하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과 노동계 모두가 위기 극복 방안에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