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지역 주력산업인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정부에 건의했다. 중국의 자급률 상승과 글로벌 수요 둔화 등에 따른 공급과잉이 불러온 구조적 산업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요청한 것이다.
울산시의 이같은 요청은 구조적·장기적 불황에 직면한 울산 석유화산업을 회생시킬 방안으로, 시의적절한 조치라 할 수 있다. 이대로 울산의 석유화학 산업이 붕괴한다면 울산 경제의 근간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다. 정부는 ‘조선’ 이어 또다시 ‘산업 위기’에 직면한 울산의 석유화학 산업을 살리기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울산 석유화학업계는 최근 매출 감소와 수익성 악화로 셧다운 위기에 처했다. 주요 화학기업들은 가동률 하락과 영업 적자 누적으로 일부 시설 가동 중단에 나서는 등 어려움에 부닥쳐있다. 지난 4분기 울산미포국가공단(울산석유화학단지 포함)과 온산국가공단의 석유화학업종 가동률은 각각 84.9%와 88.6%에 그쳤다. 두 국가공단의 석유화학업종 가동률이 90% 이하로 떨어진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정부 추산에 따르면 글로벌 석유화학 공급과잉 물량은 2023년 4400만t에서 2028년 6100만t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028년까지 위기국면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적 위기를 공식화하고 산업 재편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대응 조치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울산시와 충남(대산), 전북(여수)에 대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도 지연되고 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돼야 기업 대출 상환 유예, 긴급 경영안정자금 등 금융·재정지원과 연구개발지원, 수출지원 등 다양한 정부 지원을 통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앞서 이달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울산·여수·서산(석유화학)과 포항·광양·당진(철강)에 대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정부에 제안한 바 있다.
울산 석유화학 산업을 살릴 ‘골든 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정부는 조속히 울산석유화학 단지를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해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만이 울산경제의 붕괴를 막고 석유화학 산업의 재도약을 끌어낼 수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