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의 연체액이 급증하며 금융권의 건전성에 경고음이 켜졌다. 금융감독원이 제출한 ‘국내 금융업권별 대출 및 연체 규모’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금융권(은행·저축은행·생명보험·카드) 연체 규모는 23조8억원으로, 1년전보다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1년과 비교하면 3년 새 연체 규모가 15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특히 저축은행권의 연체액은 지난 2021년 말 보다 264%나 급증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거의 20%에 육박하고 있을 정도다. 건설경기 악화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규모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PF 사업장 정리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다음 달부터 저축은행 현장검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농축협 상호금융 건전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농협중앙회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까지 누적된 농축협 상호금융 공동대출 총연체 금액은 14조3466억원 규모로 연체율은 4%(4.03%)를 넘어섰다. 연체 비율이 5% 이상인 지역 농축협이 전체의 30.78%에 달했다. 또 연체 비율 1% 이상 5% 미만의 사업장은 전체의 55.27%를 나타냈다. 부동산 경기침체 여파로 상호금융의 공동대출(브릿지론 대출 등) 연체율도 계속 치솟고 있는 것이다.
이와함께 은행업권 연체 규모도 지난달 말 12조7000억원으로 1년전보다 19.8% 증가했다. 통상 금융권에서 연체율 3%가 넘으면 위험 신호로 받아들이는 것을 고려하면 금융권 전반에 건전성에 빨간 불이 들어온 셈이다.
한국은행 울산본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누계)까지 울산지역 제2금융권의 대출액은 17조5800억원 규모로 지역 총 여신의 33.3%를 점유한다. 제2금융권 여신은 대출 건전성 관리 기조에 따라 새마을금고를 중심으로 감소세 지속하고 있지만, 상호금융 대출은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다.
금융권 연체 증가는 고금리와 가계 부채 증가, 경기 침체 장기화 등 거시 경제 전반의 불안 요인과 맞물려 금융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특히 2금융권 연체 증가는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 금융 당국은 선제 대응을 통해 금융권의 건전성 확보 등 금융 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