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U-밸리 국가산업단지, 수소 융복합밸리 일반산업단지, 성안·약사 일반산업단지 등 3곳이 울산권 개발제한구역 내 국가·지역전략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이들 3곳은 환경평가 등급에 구애받지 않고 즉각적인 해제절차를 거쳐 국가·지방 산업단지 개발이 추진된다.
‘개발제한구역 해제’는 민선8기 김두겸 울산시장의 제1호 공약으로 내걸 정도로 울산의 성장과 발전을 가로막는 숙원 과제다. 울산은 이번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수소, 이차전지 등 미래 성장 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산업수도로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25일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울산시가 제출한 5곳 중 U-밸리 국가산단(1조423억원)과 수소 융복합밸리 일반산단(9709억원), 성안·약사 일반산단( 3268억원) 3개 곳을 비수도권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했다. 국가·지역전략사업은 지난해 2월 울산에서 개최된 민생토론회에서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 방안에 포함돼 처음 시행되는 제도다.
U-밸리 국가산단은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울주군 청량읍 용암리 일대로 온산국가산단을 확장하는 사업이다.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일반산단은 기존의 테크노 산업단지를 남구 옥동과 두왕동 일원까지 확대해 ‘수소핵심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두 사업은 울산이 미래 에너지 및 첨단 산업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성안·약사 일반산단은 산업단지가 전무한 중구에 저탄소·친환경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는 그린 스마트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는 3개 산단에 이차전지 등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 청년 일자리 창출, 직주 근접 선호 주거 단지 조성 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3개 산단 개발시 생산유발 20조원, 고용창출 유발 13만여명의 효과를 시는 기대하고 있다. 나머지 2개 후보사업도 국토부와 협의 절차를 거쳐 산업단지로 개발할 예정이다.
울산은 이번 국가·지역전략사업 선정으로 도시 성장과 미래 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했다. 특히 울산 전체 면적의 81.3%를 차지하는 환경평가 1·2등급지는 지난 50년 이상 도시 성장과 개발의 걸림돌로 작용해 온 터다. 이번 사업을 통해 침체된 울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울산의 미래 산업지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