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산업단지와 항만 등 국가중요시설을 보호할 수 있는 ‘대 드론 체계’가 구축된다. 탐지 레이더와 식별·추적용 장비, 전파 교란용 재머 등의 시설을 갖춘 드론·무인기 탐지, 식별, 타격 능력을 모두 갖춘 드론방어 체계가 설치되는 것이다. 국가 중요시설이 밀집된 울산권에 대드론 체계가 구축되면 무허가·불법 드론의 접근, 침입 및 테러 위협에 대해 효과적인 방어가 가능해 진다.
울산시는 4일 육군 제2작전사령부, 육군 제53사단, 산업통상자원부, 지역 국가주요시설의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지역 국가중요시설 대드론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각 기관은 대드론 체계 연결망(네트워크) 구축, 불법드론 탐지 시 대응, 대드론 체계 구축 및 운용계획 수립 등을 추진한다.
울산 국산산업단지와 국내 최대의 액체화물 처리항인 울산항은 자동차, 정유·화학, 조선, 방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드론이나 무인기 테러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런 위협에 공동 대응의 필요성에 공감한 각 기관이 대드론 체계 구축에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울산지역 국가중요시설에 대드론 체계를 구축하기로 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면 ‘현대전은 드론전쟁’이라 할 만큼 드론은 치명적인 공격과 정찰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저렴한 비용에 대량 생산이 용이한 가성비와 기동성, 정밀성, 공격성을 겸비해 전쟁의 승패를 가늠짓는 핵심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울산항과 부산항 등은 북한의 탄도미사일이나 핵어뢰 위협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북한은 지난 2016년 7월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하면서, 울산 근방의 동해와 부산 앞 해상에 예상 탄착지점을 표시해 미사일로 울산·부산항을 타격할 수 있음을 과시했다. 지난 2023년에는 북한이 ‘핵어뢰’를 원산에서 발사해 울산과 부산 포항 등 동해안 항만과 해군기지를 폭파하는 훈련을 진행했다는 국방연구원의 보고서도 있다.
울산시는 2022년 6월 국토부 공모에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실증 연구 최적지로 선정돼 미래 도심항공교통 선도도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차제에 도심항공교통(UAM) 사업과 연계해 하늘을 나는 자동차 뿐만 아니라 드론 제조·드론 서비스 등 드론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는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