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 행정부가 ‘관세’를 카드로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자 울산시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미국은 울산 전체 수출의 26%를 차지하는 최대 수출국이고, 품목별로는 지역 전체 자동차 수출의 55%를 점유하는 최대 수출시장이다. 미 행정부가 오는 4월부터 자동차 반도체 등에 대해 보편적 관세(상호관세) 부과시 울산 경제의 핵심 축인 자동차 산업을 비롯해 지역 경제 전반에 타격이 우려된다.
울산시는 5일 울산중소벤처기업청, 한국무역협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출 유관기관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와 자동차·반도체 추가 관세 조치에 따른 지역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수출 유관기관들은 수출지원 사업 및 기업 애로사항 등을 공유하고 지자체 차원의 협력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시는 기업 애로사항에 신속히 대응하는 소통 창구로 ‘통상정책 비상 대응 전담반(TF)’을 가동하고, 싱가포르, 베트남 등에 무역사절단과 중동 시장개척단을 파견해 시장개척을 돕기로 했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150억달러로, 지역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55%에 점유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의 43.3%에 달하는 규모다. 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의 분석 결과 미국의 자동차 관세( 25%) 부과시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18.59%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 경우 올해 울산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28억달러(4조7000억원) 줄어들게 된다.
이날 시와 유관기관은 지역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그러나 트럼프의 관세폭탄이 누차 예고된 상황에서,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울산이 직면한 어려움을 타개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특히 수출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한 상황에서 중소기업 수출 전략에 초점을 맞춘 것은 아쉬운 감이 있다.
울산 경제는 내수 부진과 트럼프발 관세전쟁 등 대내외적 복합악재로 ‘퍼펙트 스톰’(총체적 복합위기)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시나리오별 유연한 대응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근본적인 처방은 어렵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시장 다변화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