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시 인구정책, ‘인구절벽’ 위기 극복 돌파구 되기를
상태바
[사설]울산시 인구정책, ‘인구절벽’ 위기 극복 돌파구 되기를
  • 경상일보
  • 승인 2025.03.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출산과 인구유출로 인구절벽 위기에 직면한 울산시가 올해 1조1955억원을 투입하는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추진한다. ‘모든 세대가 행복하고 살고 싶은 도시 울산’을 만드는 것이 정책의 비전이다. 지난해 울산의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은 9년만에 극적으로 반등했다. 이번 계획은 출생아 증가와 인구 유출 둔화를 전환점으로 삼아 일자리와 출산, 주거,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울산시는 6일 인구정책위원회를 열고, 미래성장도시 기반 강화 등 4개 분야에 총 1조1955억원을 투자하는 ‘2025년 울산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안’을 심의했다.

분야별로는 미래성장 도시 기반 강화를 위해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도심융합특구 조성, 울산형 광역비자 시행 등을,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트램 건설 추진, 층간소음 방지 매트 지원 등 수요자 중심의 주거 지원을 추진한다. 또 (외)조부모 손주 돌봄 수당 30만원 지원, 달빛어린이집 추가 지정 운영, 아이문화패스카드 지급 등으로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교육발전 특구, 노인버스 무료 사업 등을 추진해 인구변화에 선제 대응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울산의 인구는 지난해까지 10년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8월 말에는 울산의 인구가 110만명 선 아래로 추락했다. 다만, 최근 조선업황 호조 등으로 외국인 유입이 증가하고, 내국인 유출이 줄면서 총인구 감소세는 둔화하고 있다. 울산시가 밝힌 올해 1월 기준 주민등록 총인구는 외국인 2만7711명을 포함해 112만5532명이다.

인구절벽의 위기 속에서 긍정적인 신호도 포착되고 있다. 지난해 탈울산 인구는 2015년 처음 소폭 순유출이 시작된 이래 가장 적었다. 무엇보다 출생아 수와 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해 울산의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4% 증가하며 합계출산율(0.86명)도 소폭 상승했다.

이에 대해 적극적인 투자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안정적 생활-결혼과 출산이라는 선순환 고리로 이어진 결과로 시는 분석하고 있다. 시는 민선8기 김두겸 시장 취임 이후 지난해 말까지 2년여간 23조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해 총 1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한 바 있다.

인구는 지역의 경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역 소멸을 막는 중요한 자원이다. 울산시의 이번 인구정책 시행계획이 인구절벽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