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도시를 지향하는 경남 양산시의 문화예술 활동의 구심점이 될 ‘양산문화재단’ 탄생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양산시는 최근 지역 문화예술의 새 지평을 열어 줄 양산문화재단 창립총회를 가졌다. 총회에는 재단 이사장인 나동연 시장과 손영옥 대표이사 등 총 10명의 임원이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시는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4월 재단법인 설립을 완료하고 6월까지 직원 채용, 임용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재단은 3국 3팀 27명 조직을 정원으로 오는 7월 정식 출범할 예정이다. 시는 오는 25일 개회하는 제202회 양산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 ‘2025년 (재)양산문화재단 출연금 동의안’을 제출했다. 이는 양산문화재단의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출연금 36억원의 지원에 대한 동의를 받기 위해서다. 이에 그동안 답보상태에 빠졌던 양산문화재단 설립이 이번에는 양산시의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시의회의 동의 여부에 따라 추진 일정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시가 제출한 동의안에 대해 시의회는 해당 상임위원회인 기획행정위원회에서 이번 정례회 기간 중인 오는 27일 심의할 예정이다.
시는 앞서 지난해 6월 정례회에 출연금 동의안을 제출했으나 기행위에서 부결됐다. 당시 기행위는 최저임금 수준인 대표이사 급여와 기본재산 규모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후 양산문화재단 설립 추진에 제동이 걸렸고, 한동안 답보상태에 머물렀다. 대표이사 급여를 현실화해 전문가 지원의 폭과 기회를 늘려야 한다는 양산시의회와 현실적으로 인건비 총량제에 묶여 있는 상황에서 고액 연봉을 주고 전문가를 데려오기는 어렵다는 양산시가 접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는 다시 지역의 요구에 따라 2020년 연말부터 타당성 용역을 시작했다. 용역을 맡은 경남연구원은 양산시 문화예술 경쟁력을 평가했다.
올해는 양산문화재단 출범이 양산시 주요업무계획에서까지 제외되면서 무산되지 않겠느냐는 우려까지 낳았다. 하지만 문화재단을 설립하는 지자체가 갈수록 늘어가고 있는 데다 문화재단의 부재로 인해 문화도시 등 몇몇 공모사업은 신청조차 어려워지자 양산시로서도 재단의 필요성을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2026년 양산방문의 해와 관련한 다양한 사업들을 전문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양산문화재단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시하고 이번에 전격적으로 동의안을 제출했다. 관건은 부결 당시 나온 지적사항들을 어떻게 해소하고 의원들을 설득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번에도 부결이라는 결과가 나오면 문화도시의 길은 그만큼 멀어질 수밖에 없다. 이제 문화도시 양산을 위해서는 양산문화재단이 설립되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시가 시의원을 개별적으로 만나 동의안 내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는 한편 법률 자문과 타 지자체 사례 등을 검토해 재단 출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갑성 편집국 양산·기장본부장 gskim@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