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초등학교 안전 대책이 강화됐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교내 안전망 구축이 각종 난관에 부딪히며 시작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12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울산시교육청은 최근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지역 초등학교 안전 강화 종합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늘봄학교 귀가 안전 대책을 강화했는데, 초등학교 1~2학년은 ‘대면 인계, 동행 귀가’를 원칙으로 정했다.
이에 학교에서는 보호자나 보호자가 사전 지정한 성인 대리자에게 확인 후 학생을 직접 인계하고 있다. 자율 귀가는 보호자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하지만 개학 2주차를 맞은 학교들은 교육부 방침에 따라 시교육청이 내놓은 각종 안전 대책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대면 인계 등을 지원할 늘봄안전인력을 최소 2명 이상 배치해야 하는데, 학교 예산이 부족한 탓에 인력을 제때 구하지 못하고 있다.
남구 한 초등학교의 경우 자체적으로 4명을 구했지만, 귀가 지원 대상 학생을 전부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방과후수업이나 돌봄을 마친 학생들의 하교 시간이 제각각이어서 대면 인계 동행 귀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볼멘 소리가 나온다.
실제로 방과후수업을 받던 학생이 당일 일정 변경으로 귀가해야 하는데 학부모와의 연락이 닿지 않아 당장 하교를 못한다거나, 학원차량 기사 등 대리자에게 인계하려는 사이 학생이 화장실에 가버리는 탓에 인계가 제때 이뤄지지 못하고 다른 학생의 귀가도 덩달아 늦어지는 등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연일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학생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학부모들의 민원은 빗발치고 있다.
학부모 하모(36)씨는 “하교 시간을 맞추기 힘든 맞벌이 가정에서는 무조건 대리자에게 인계해야 하는 등 안전 대책을 따르기 위해 불필요한 학원 일정을 더 끼워넣어야 할 판”이라며 “늘봄 담당 인력이 부족한 과밀학급, 과대학교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고 토로했다.
이 가운데 개학 전부터 지적된 늘봄지원실장 부족에 대한 우려도 현실화하는 모양새다. 늘봄전담실장이 없는 학교는 교육지원청 직원들의 손을 빌리고 있는데, 늘봄 업무를 맡은 교직원 사이에서 업무 과중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역 초등학교 122곳에 늘봄지원실장 24명을 우선 배치했다. 부족한 인력은 하반기에 보충할 계획이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