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에서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관리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관리계획에는 한강 등 전국 5대 권역별 물 부족, 홍수 예방, 하천환경 개선에 대한 대책을 비롯해 기후대응댐 14곳의 후보지와 후보지(안)이 포함됐다.
환경부는 지난해 7월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14곳을 발표하고 같은 해 10월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서에 10곳을 후보지로 담았다. 이후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해당 지자체와의 공감대가 형성된 울산 회야강댐, 경북 청도 운문천댐 등 9곳을 후보지로 선정했다.
후보지로 확정된 9개 댐에 대해서는 향후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를 통해 댐 필요성, 위치, 규모, 용도 등을 구체적으로 개별 검증한 뒤 2027년까지 기본 계획을 수립한다.
울산 회야강댐은 하류 지역의 침수 피해를 방지하고 울산 시민의 식수원을 확대하기 위한 수문을 설치한다.
만약 만수위까지 운영이 가능하도록 수문을 설치할 경우 약 680만㎥의 저수량이 늘어나게 된다. 이는 기존 용량 대비 30% 정도 증가한 수치로, 홍수 통제뿐 아니라 댐체 안정성 및 부족한 댐 용수까지 확보할 수 있어 시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