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전면 시행]개인책상 사라지고 공용교실서 삼삼오오 수업
상태바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개인책상 사라지고 공용교실서 삼삼오오 수업
  • 이다예
  • 승인 2025.03.17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학성여고 2학년 학생들이 선택 과목 수업을 받고 있다.
▲ 공용 공간에 조성된 홈베이스.
2025학년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됐다. 지난 2018년 울산을 비롯해 전국에서 고교학점제 첫 시범 운영에 들어간 지 7년 만이다. 하지만 새 학기부터 교사와 학생 등 교육주체들은 고교학점제의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다. 일부 고1 사이에서는 ‘마루타 세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된다. 본보는 고교학점제가 본격 시작된 일선 현장의 기대와 우려, 대책 등을 2회에 걸쳐 짚어본다.





최근 방문한 학성여자고등학교 2학년 수학 수업 현장. 학생들은 개인 책상이라는 개념 없이 교실에 삼삼오오 모여 공부하는 모습이었다.

칠판 옆에 붙이던 학급 공용 시간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교실 뒤편에 있어야 할 개인 사물함도 사라졌다. 사물함은 교내 공용 공간인 ‘홈베이스’에 모두 배치됐다.

홈베이스에는 수십개의 사물함을 비롯해 ‘수업시간에는 홈베이스에 절대 머무르지 않는다’ 등의 홈베이스 이용 안전 수칙, 학교 행사 알림 마당,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편제표, 공용 쉼터 등이 마련돼 있었다.

대부분 교실은 ‘몇 학년 몇 반’ 개념이 아니라, ‘공용교과실’이나 ‘과목별 전용 교실’로 통했다. 일부 교실은 폴딩도어를 달아 토론과 협업 등이 가능한 ‘가변형 교실’로 탈바꿈했다.

올해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서 교실 풍경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이다.

앞서 울산시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비하고자 학성여고를 비롯해 모든 고등학교 대상으로 고교학점제형 학교 공간을 조성했다.

16일 학성여고 관계자는 “2018년 고교학점제 공간 혁신 사업에 선정됐고, 2020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등을 운영하면서 학교 공간 재구조화와 고교학점제 준비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학성여고는 교육과정 전담부서를 두고 고교학점제 운영에 본격 나섰다. 1학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교육과정 관련 의견 수렴과 진로집중학기제 등을 운영하고, 2학기부터 자체 진로플래너를 통해 과목 선택 상담 등 3개년 학업 설계를 지도할 계획이다.

고교학점제를 미리 경험한 3학년 이아라·정예원 학생은 “관심 있는 과목을 선택해서 수업을 들을 수 있어 좋고, 대학 시스템을 선행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며 “학교도 친구들과 더 잘 어울리고,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