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오는 4월 산업부 신청을 앞두고, 울산미포 및 온산 국가산업단지 일원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공개했다. 현대차와 SK, 고려아연 등 글로벌 기업이 입주해 있는 두 개 국가산업단지에 지역에서 생산한 원자력, 풍력 등의 분산 에너지를 공급해 사용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전력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이를 통해 전력 수요가 높은 신산업을 유치하고, 에너지 관련 신산업을 육성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전통 제조업 도시에서 ‘글로벌 에너지 허브’로 도약하려는 울산의 위대한 도전이 시작된 셈이다.
울산시가 마련한 국가산업단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계획안을 보면 ‘에너지 요금 합리화’ ‘에너지 인프라 고도화’ ‘에너지 주력 산업화’라는 3대 발전 방향 아래 4대 실천 전략과 12대 시행 과제로 짜였다. 전력 수요가 집중된 국가산업단지 확장, 기업투자 유치 등에 부응하는 신규 전력 수요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전력 직거래의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울산시가 도전하는 특구 사업 유형은 ‘전력 수요 유치형’과 ‘신산업 활성화형’ 두 가지로 가닥이 잡혔다. ‘전력 수요 유치형’ 특구는 전력 수요가 높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반도체, 이차전지 등과 관련한 기업들이 저렴한 가격에 전력을 공급받아 비용 절감을 통한 경쟁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신산업 활성화형’ 특구는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IoT 기반 관리 시스템 등 최신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하도록 규제가 완화돼 에너지 관련 신산업을 활성화하는 이점이 있다.
산업도시 울산은 조선,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의 성장력 둔화로 ‘잃어버린 10년’을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일자리가 감소하면서 청년 층을 중심으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돼 미래 성장 잠재력이 약화되고 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이차전지 등 미래 산업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은 울산이 ‘제2의 태화강 기적’을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기존 주력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드시 이 기회를 잡아야 한다. 울산시는 철저한 준비와 전략으로 특구 지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