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3월 울산 소비자물가 지수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1.8% 상승해 두 달 연속 1%대의 안정적인 물가 흐름을 나타냈다. 신선식품의 하락(-1.5%)이 지역 물가 상승률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외형적인 소비자물가는 안정된 모습이나, 실제로 서민들이 느끼는 생활물가가 크게 상승해 서민 경제를 압박하고 있다.
생활물가는 소비자들의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을 반영한 지표다. 이 지표는 벌써 4개월째 2%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생활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품목의 물가가 ‘부담스러운’ 수준으로 치솟았다는 의미다.
실제로 사립대학교 납입금, 택시료, 귤, 밑반찬 등의 필수적인 생활물가는 한 달 전보다 껑충 뛰었고, 보험 서비스료, 도시가스, 배추, 휘발유 등의 생활물가도 1년 전보다 크게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배추, 무, 돼지고기, 수입 쇠고기 등 농축산물(6.1%)과 외식, 승용차 임차료, 호텔 숙박료 등 개인 서비스(2.7%) 물가의 오름폭도 컸다.
게다가 최근 발생한 영남권 대형 산불로 사과·양배추·양파·마늘 등 농산물과 축산물 가격 상승이 예고된 상태다. 또 국내 정치 불안 등으로 환율이 급등해 수입 물가가 뛰면서 가공식품 가격도 줄줄이 오름세다.
필수 생활용품과 서비스의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려 서민 가계 경제에 타격을 준다. 실제로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에 따른 살림살이 부담을 더 크게 느낀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소득 1분위(최빈층)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고소득층인 5분위(20.6%)보다 2.6% p 더 높았다. 10년 사이 소득 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은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경향을 보였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생활물가 상승의 충격은 크다. 지금 필요한 것은 서민들의 실제 체감 물가를 반영한 현실적인 물가안정 대책이다. 정부와 물가 당국은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가공식품과 서비스 가격의 과도한 인상을 억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