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박판식 ‘화남풍경’
상태바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박판식 ‘화남풍경’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5.05.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송은숙 시인
세상의 모든 물들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부력, 상인은

새끼를 밴 줄도 모르고 어미 당나귀를 재촉하였다 달빛은 파랗게 빛나고

아직 새도 깨어나지 않은 어두운 길을

온몸으로 채찍 받으며 어미는 타박타박 걸어가고 있었다

세상으로 가는 길

새끼는 눈도 뜨지 못한 채 거꾸로 누워 구름처럼 둥둥 떠가고





현실의 고단함 속에서도 묵묵히 빛나는 모성

원시인들은 그림을 그릴 때 엑스레이를 찍듯 그렸다고 한다. 어미 고래가 새끼를 배고 있다면 보이지 않는 뱃속의 새끼까지 그리는 것이다.

당나귀를 끌고 가는 상인은 어미 당나귀가 새끼를 밴 줄도 모르지만, 시인의 눈은 원시인들처럼 어미 뱃속의 작은 생명체를 본다.

시에는 새끼와 어미, 두 개의 세계가 등장한다. 새끼는 어미 뱃속, 양수 속에 머물고 있다.

양수는 부력으로 구름처럼 둥둥 새끼를 받쳐준다. 따뜻하고 편안한 양수 속에서 새끼는 종일 포근한 꿈을 꿀 것이다.

반면 어미는 어두운 길을 온몸으로 채찍을 맞아가며 타박타박 걸어야 한다.

시인은 그 길을 ‘세상으로 가는 길’이라고 표현했다. 어미의 세계는 고달프고 험하다.

어미 당나귀를 채찍질하는 상인도 그 고단한 세상의 어둠과 추위에 맞서며 걷고 있는 것일 거다.

그래도 이 시가 따뜻하게 읽히는 것은, 엑스레이처럼 뱃속의 새끼를 들여다보는 시인의 눈 때문이다.

시인은 어미의 눈으로 새끼를 본다. 그 눈길은 섬세하고 따뜻하다. 언젠간 새끼도 세상의 길을 걸을 테지만, 그래도 지금은 구름처럼 새끼를 받쳐주는 저 모성.

송은숙 시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