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전국 5개 구장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리그 경기에 총 7만7583명이 입장해 올 시즌 누적 관중 수는 604만6360명이 됐다.
정규 시즌 일정 48.6%에 해당하는 350경기 만에 600만 관중을 넘긴 KBO리그는 종전 기록(2024년 418경기)을 크게 앞당겼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 시즌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최초의 시즌 관중 1000만명 돌파에 이어 올해는 1200만명도 넘길 가능성이 크다.
올해 경기당 관중 수는 1만7275명이다. 지난 시즌 같은 경기 수 기준 1만4716명보다 17% 늘어난 수치다.
350경기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69경기 입장권이 매진됐고, 한화 이글스는 4월13일부터 지난 5일 경기까지 홈 24경기 연속 매진이라는 KBO리그 신기록을 수립했다.
그러나 매 경기 관중석이 가득 찰 수는 없다. 날씨 등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종목의 특성상 올해도 꽤 썰렁한 분위기에서 펼쳐진 경기가 제법 있다.
이번 시즌 최소 관중 경기는 5월17일 울산 문수야구장에서 열린 키움 히어로즈와 NC 다이노스의 더블헤더 1차전으로 2297명만 입장했다.
이 경기는 NC가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한 울산 문수야구장의 시즌 첫 경기였고, 전날 경기는 비로 취소되는 등의 변수로 올해 유일하게 3000명 미만의 입장객 수를 기록했다.
올해 최소 관중 2위는 NC와 kt wiz의 5월7일 수원 경기로 3598명이 들어왔다. 두 팀의 4월9일 같은 경기장 매치업은 3667명으로 최소 관중 3위다. NC가 역시 울산에서 치른 5월21일 한화전 관중은 4183명으로 이 부문 6위다.
올 시즌 최소 관중 상위 10위까지 경기의 홈팀은 시즌 평균 관중 수 8~10위인 kt, NC, 키움으로 채워졌다.
평균 관중 수 1위 팀은 삼성 라이온즈(2만2548명), 2위는 LG 트윈스(2만1682명)로 집계됐으며 3위 롯데 자이언츠(2만516명), 4위 두산 베어스(2만110명)까지 평균 2만명을 넘겼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